"마약류 처방내역 제공하자…의사 처방량 9.2% 감소"

식약처, 마약류 처방현황 및 다른 의사와 비교 통계 제공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취제 등 마약류 3종에 대한 처방내용을 분석한 내용을 받은 의사들의 3개월 평균 처방량이 9.2% 감소했다고 27일 밝혔다.

 약물별 환자당 평균 처방량은 졸피뎀(수면제 성분) 6.8%, 프로포폴(마취제 성분) 5.9%, 식욕억제제 11% 감소했다.

 식약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해 처방한 의사에게 마약류 처방내용을 분석한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 서한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 4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증후군(ADHD) 치료제, 5월 진통제, 8월 항불안제에 대한 도우미 서한을 제공했다.

 올해 11월에는 오남용 우려가 큰 마약류 3종의 지난 1년간 처방내용을 분석한 4차 서한을 제공할 예정이다.

 도우미 서한은 전체 의료용 마약류와 마약류 3종 사용현황, 의사 본인의 처방 현황 및 다른 의사와의 비교통계를 제공해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지난 1년간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1천765만 명(국민 2.9명 중 1명)으로, 성별로는 여성(57.5%)이, 연령대별로는 50대(21.1%)가 가장 많았다.

 효능군별로는 마취제, 최면진정제, 항불안제 순으로 처방 환자 수가 많았다.

 이번 도우미 서한의 대상인 마약류 3종의 처방환자 수는 프로포폴 798만명, 졸피뎀 184만명, 식욕억제제 134만명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