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치료제·백신'개발이 우선…국민 인식조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보건산업 분야 과제로 국민들은 치료제와 백신 개발 지원을 꼽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런 내용의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진흥원은 지난해 9월 23일∼10월 30일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고 이와 별개로 보건산업체 종사자 300명, 의료계 종사자 200명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팩스 조사 등을 병행했다.

 국민 조사대상의 70.1%는 현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치료제·백신 개발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 밖에 신속 진단키트 개발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18.5%였고 방역물품 생산(9.1%), 비대면 의료 도입(2.2%)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계 종사자 대상 조사에서는 코로나19가 보건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50.7%를 차지했다. 보건산업 종사자 가운데 66.3%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매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대답했다.

 의료계 종사자들은 81.5%가 코로나19 이후 첨단 보건의료기술이 임상에 적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유전자검사, 첨단재생의료 등 첨단기술에 대해선 일부 우려 섞인 시각도 있었다.

 국민과 산업계·의료계 응답자의 과반은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또 국민의 69.6%, 산업계 57.3%, 의료계 68.0%는 비용이 부담된다고 답했고 사회·윤리적 문제를 걱정한다는 대답도 각각 14.4%, 23.7%, 16.0%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