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에 닿는 순간 녹아버린 기장멸치, 쌈밥과 회로 만나다

봄이면 기장군 내륙만으로 몰려오는 햇멸치
갖가지 쌈채소에 매콤한 멸치찌개 '도망간 입맛 돌아와'
단단하면서 부드러운 멸치살, 비결은 깊은 수심

 날이 따뜻해지면 연안 가까이 내륙만으로 멸치들이 몰려온다.

 가을에 남쪽마다 바깥으로 이동했던 멸치들이 다시 돌아오기 시작한 것이다.

 이중 기장에서 잡히는 멸치는 타지역에서 익히 볼 수 있는 멸치와는 차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멸치를 떠올리면 멸치볶음에 들어가는 잔멸치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그러나 기장 멸치는 길이가 10∼15㎝에 이르는 '왕멸치'인 데다가 단맛이 강하고, 살도 상당히 연하다.

 그래서 부산 기장군에 가면 멸치 쌈밥, 멸치회무침 등 멸치 관련 음식들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멸치쌈밥과 멸치회무침

 단풍, 방아잎, 부추, 상추 등 푸릇한 채소는 물론 미역, 배추 등과도 함께 싸 먹는 멸치 쌈밥.

 여기서 가장 중요한 멸치찌개는 달콤, 매콤한 양념이 밴 큼직한 멸치와 함께 자작한 국물에 끓여 나온다.

 넓은 뚝배기에 담긴 멸치를 턱턱 쌓아 올린 쌈 채소 위에 올려 한입에 넣자 연한 살이 입 안에서 녹아내린다.

 야채의 신선함과 참기름의 고소함이 입맛을 돋우었고, 매콤한 양념 맛과 부드러운 식감이 입안을 감쌌다.

 당초 우려했던 비린내는 진한 양념 맛이 잡아줘 멸치 맛을 음미하는 데 별 지장이 없었다.

멸치회무침

 멸치 쌈밥과 찰떡궁합으로 알려진 멸치회무침을 먹으면 기장 멸치의 진가를 맛볼 수 있다.

 조금이라도 신선도가 떨어지면 먹기 어려워 산지가 아니면 접하기 어렵다는 멸치회.

 그래서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사는 사람들은 산지 직송 택배가 아니라면 제대로 맛보기도 쉽지 않다고 한다.

 매콤한 초고추장 양념에 무, 상추 등 채소와 버무려진 멸치회무침을 한번 먹으면 입안에서 고소함이 퍼진다.

 멸치회에 들어간 멸치는 마치 충분히 익힌 생선처럼 부드럽게 씹힌다.

 뼈가 많기로 유명한 멸치인지라 혹여나 입안을 쑤시지 않을까 걱정되기도 했지만 잔가시만 부드 럽게 씹힐 뿐 먹는 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여러 가지 형태로 먹을 수 있는 멸치쌈밥

 이처럼 기장 멸치가 유별나게 부드러운 이유는 따로 있다.

 전국 멸치의 60%를 조업하는 대변항 어촌계는 기장 멸치가 맛있는 이유로 깊은 수심을 꼽는다.

기장군 연안은 동해중에서도 수심이 깊고 물살이 세기로 유명하다.

 또 이곳은 조류도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지점이라 멸치살이 단단하면서도 부드럽다는 것이다.

 박종수 대변어촌계장은 "3월부터 6월 중순까지 조업하는데 이때 기장군에 오면 싱싱한 멸치를 맛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때문에 기장 멸치 축제가 2년째 취소돼 지역 경제가 아주 어렵다"며 "외지인들은 택배로도 주문할 수 있으니 산지 직송으로 만나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명에너지 활용한 환경호르몬 검출법 개발…안전성 평가 기준 기대
부산대학교는 생명과학과 윤부현·김태진 교수팀이 내분비계 장애 물질(환경 호르몬)을 판별하는 세포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판별 시험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환경호르몬은 외부에서 유입돼 체내 호르몬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물질로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와 함께 세계 3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다양한 검색 시험법의 가이드라인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이번에 부산대 연구팀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생리 작용을 교란하는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판별할 수 있는 시험법 개발에 성공했다. 환경호르몬이 국제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면서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1998년부터 환경 호르몬 판별 시험법 개발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환경 호르몬 판별을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부산대 연구팀은 동물실험 없이 인체 세포주만으로 에스트로겐성 환경 호르몬을 탐지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했으며, OECD 시험 가이드라인 검토를 거쳐 국제 표준 시험법으로 채택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이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