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환자 73% '근골격계 질환 치료 목적'…'첩약' 처방은 부담

전체 국민 69% 한방의료 경험…'보험급여 적용 확대' 요구

 지난해 한의원·한방병원 등 한방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열 명 중 일곱 명은 근골격계통 질환을 치료하려 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20년 한방 의료이용 및 한약 소비 실태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 국민 5천200여명과 한방의료기관 환자 1천800여명, 한방의료기관 및 약국 등 2천800여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기간은 작년 9월부터 올해 2월까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69%가 한방 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이는 2017년 조사 때 한방 의료 경험 비율(73.8%)보다 4.8%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한방 의료를 이용하려는 목적으로는 '질환 치료'가 94.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한방의료 이용 목적(복수응답)으로는 근골격계통 질환 치료(72.8%)를 가장 많이 택했다. 이어 염좌나 열상 등 외인이 37.0%, 보약 등 자양강장이 11.7%, 소화계통 질환 치료가 10.3%였다.

 가장 많이 이용한 치료법은 침 시술(91.3%)이었고, 뜸(48.3%)이나 부항(47.8%) 치료를 받은 경우도 많았다.

 한방의료기관에서도 근골격계통에 대한 첩약 조제가 77.4%로 가장 많았고, 보험·비보험 한방제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모두 주로 오적산(46%)이 처방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를 살펴보면 한방병원·한의원·약국·한약방은 당귀와 감초를 주로 사용했다. 요양·종합 병원은 황기와 당귀를 많이 썼다.

 미성년자의 한방 의료 경험률은 이번 조사에서 16.9%로 나타나 2017년(22.3%)보다 5.4%포인트 하락했다. 만족도는 2017년 57.6%에서 68.2%로 올랐다.

 일반 국민과 환자들은 비싸다고 생각하는 치료법으로 모두 '첩약'을 가장 많이 꼽아 가장 큰 비용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일반 국민과 환자, 한방의료기관을 가리지 않고 보험급여 적용 범위 확대를 한방 의료분야의 우선 개선사항으로 꼽았다.

 보험이 먼저 적용이 돼야 하는 치료법은 '첩약'과 '한방제제'로 갈렸다. 외래·입원환자와 한방병원·한의원은 '첩약' 치료를, 일반 국민과 입원환자, 요양·종합 병원은 '한방제제' 치료에 적용되기를 보다 희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