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 환자 3명 중 한 명은 가벼운 뇌 외상 전력"

 편두통 환자는 3명 중 한 명이 과거 가벼운 뇌 외상을 겪은 일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 신경내과 전문의 이시이 료타로 교수 연구팀이 미국 편두통 연구 기록(ARMR: American Registry for Migraine Research)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편두통 환자 1천98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과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8일 보도했다.

 이들 편두통 환자 중 37.6%(413명)가 과거 가벼운 외상성 뇌 손상(TBI: traumatic brain injury)을 겪은 일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뇌진탕이라고 불리는 외상성 뇌 손상은 스포츠 부상, 교통사고, 낙상, 병영 내 사고 등이 원인이다.

 이러한 전력이 있는 편두통 환자는 다른 편두통 환자들보다 오심, 구토가 동반되는 어지럼증(vertigo), 불안, 우울감이 더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들의 ▲우울증 선별검사-2(PHQ-2: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범불안장애 검사-7(GAD-7: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편두통 장애 평가(MIDAS: 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Scale) 결과를 TBI를 겪지 않은 다른 편두통 환자들과 비교해 봤다.

 과거에 가벼운 TBI를 겪은 편두통 환자는 겪지 않은 편두통 환자보다 MIDAS, PHQ-2, GAD-7 평가지수가 훨씬 높았다.

 외상 후(post-traumatic) 두통과 편두통은 특징이 비슷하지만 가벼운 TBI가 편두통 환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외상 후 두통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는 편두통 환자들이 배제되고 편두통을 다룬 많은 연구에서는 외상 후 두통 환자들이 제외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두통 학회(American Headache Society) 화상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소아·청소년 고난도 수술 보상 강화…건보 가산항목 대폭 확대
고난도 소아·청소년 수술 마취료 등에 대한 건강보험 가산 항목이 올해부터 대폭 늘어난다. 고난도 소아·청소년 수술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자는 취지다. 6세 이상∼16세 미만 소아·청소년 수술의 경우 가산 항목을 신설해 100% 가산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7일 올해 제4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를 열어 이렇게 결정했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성장과 발달 단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수술 난도와 위험도, 자원 소모량이 더 커 추가 보상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따라 이날 건정심에서는 소아 맞춤형 장비·전문인력 등 자원 투입, 난이도·위험도, 질환 특성 등을 고려해 6세 미만 고난도 소아 수술행위 319개를 추가 발굴해 가산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6세 이상∼16세 미만 연령의 고난도 수술에 대해서도 가산 항목 487개를 신설했다. 일례로 '경피적 동맥관 개존 폐쇄술'을 16세 미만 환자에게 시행한 경우 수술 보상은 최소 96만원에서 최대 850만원까지 늘어난다. 6세 이상∼16세 미만 환자에 대한 개두술·두개절제술(두개감압술) 보상은 234만원 증가한다. 이날 건정심에서는 또 자궁경부절제술의 보상을 늘리고, 건강보험 비급여 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