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있는 여성, 류마티스 질환 잠재적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

윌스기념병원 의료진 논문, 국제학술지 PLOS ONE에 등재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뇌 혈관이 막혀 뇌조직이 괴사하는 ‘허혈성 뇌졸중‘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윌스기념병원 이동현 소장, 이동근 부병원장, 장재원 원장 등 척수센터 의료진은 ‘국내 허혈성 뇌졸중(뇌경색)과 혈청 반응 양성의 류마티스 관절염의 연관성’ 연구논문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과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연관성을 국내에서 처음 연구, 이 같은 결과를 밝혀냈다.

 2천765명의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와 1만3천825명(연령과 성별이 일치하는)의 대조군을 두어 12년간 허혈성 뇌졸중 발생비율을 조사한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 고혈압군, 비당뇨군, 비고지혈증군의 혈청 양성 류마티스 질환에서 허혈성 뇌졸증의 위험율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고혈압이 있는 여성은 다른 뇌졸중의 위험인자가 없다 하더라도, 류마티스 질환이 잠재적인 위험인자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선별검사에 대한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확인했다.

 제1저자인 이동현 소장은 “특히 고혈압이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그 중 여성의 경우 허혈성뇌졸중의 발생률이 높은 만큼 운동이나 금연,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 개선으로 발생 위험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액을 생성하는 얇은 막인 활막에 지속적인 염증반응으로 인해 관절 연골 손상, 골 미란(뼈 침삭)이 일어나며 결국 관절의 파괴로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이 같은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되었다.  

 윌스기념병원 의료진은 학술발표와 논문투고 등 기초 및 임상에 대한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SCI(E)급 논문을 포함해 국내외 권위 있는 학술지에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