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영양분 공급 조절하는 모세혈관 '칼슘 신호 체계' 발견

혈관 내벽 세포의 칼슘 증가-> 산화질소 생성-> 혈관 확장
미국 메릴랜드 의대 등 연구진,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논문

  인체의 다른 기관과 달리 뇌는 따로 에너지를 비축해 둘 만한 공간이 없다.

 어떤 부위에서 갑자기 에너지 수요가 늘어나면 뇌는 혈관을 통해 신속히 혈액을 공급해야 한다.

 뇌혈관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제일 가느다란 모세혈관까지 모두 연결하면 뇌혈관의 총연장은 수백 마일에 달할 거로 추정된다.

 특정 부위의 활동이 증가했을 때 어떻게 뇌가 해당 혈관에 '확장 신호'를 보내는지는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혈구 세포 하나가 겨우 통과할 만큼 가는 모세혈관을 뇌가 어떻게 제어하는지에 대해선 거의 알려진 게 없다.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뇌의 모세혈관 제어 메커니즘이 마침내 소상히 밝혀졌다.

 모세혈관의 확장과 수축에 핵심 기능을 하는 건 칼슘과 산화질소였다.

 모세혈관 내벽 세포에 유입하는 칼슘이 늘어나면 산화질소가 생성돼 혈관을 확장했고, 혈류량도 늘어났다. 칼슘은 이 기제에서 교통 신호등과 비슷한 역할을 했다.

 미국 메릴랜드 의대와 버몬트대 과학자들이 공동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1일(현지 시각)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논문으로 실렸다.

 뇌의 혈관 제어 메커니즘을 세부 내용까지 정확히 이해하는 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무엇이 잘못돼 알츠하이머병이나 치매 같은 신경 퇴행 질환이 생기는지 판단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런 신경 퇴행 질환에서 뇌의 혈류 이상은 인지 능력 손상의 선행 지표이기도 하다.

 혈류량이 늘어야 하는 뇌의 특정 영역에 제때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 신경세포(뉴런)가 스트레스로 손상돼 인지 기능 저하와 기억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지난 2017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엔 흥미로운 논문이 하나 발표됐다.

중간 크기인 뇌의 모세혈관 전 세동맥(arterioles)으로부터 모세혈관으로 혈액이 유입할 때 모세혈관의 '전기 맥박(electrical pulses)'이 혈류의 방향을 잡는다는 게 요지였다.

 이번 연구는 더 깊이 파고들었다.

 다시 말해 뇌의 미세 영역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정확히 제어하는, 모세혈관 혈류의 미세 조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밝히는 데 초점을 맞췄다.

연구팀을 이끈 메릴랜드 의대의 토마스 롱든(Thomas Longden) 병리학 조교수는 "모세혈관의 칼슘 신호는, 필요한 지점에 혈액이 늦지 않게 도달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미세 조정을 한다"라고 말했다.

롱든 교수와 동료 연구자들은 세포의 칼슘 수치가 올라가면 녹색 빛을 내는 형광 단백질을 생쥐의 뇌혈관 내벽 세포에 이식해 실험했다.

연구팀은 직접 관찰한 미세 부위의 모세혈관에서만 초당 5천 번의 칼슘 신호를 포착했다. 뇌 혈관계 전체의 모세혈관에서 감지된 칼슘 신호는 초당 약 100만 회에 달했다.

칼슘 신호는 모세혈관의 혈류 유입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와 비슷했다.

뉴런이 전기 신호를 보내 혈관 내벽 세포의 칼슘 수치가 상승하면 세포의 효소가 이를 포착해 산화질소를 만들었다.

이어 산화질소는 혈관을 둘러싼, 근육 유사 세포를 이완시켜 혈관의 확장과 유입 혈액의 증가를 유도했다.

논문의 공동 수석저자인 버몬트대의 마크 넬슨 약물학 석좌교수는 "전통적으로 모세혈관은 적혈구가 통과하는 도관 또는 혈액과 뇌 사이의 장벽 정도로 인식됐다"라면서 "지금까지 전혀 몰랐던 모세혈관의 칼슘 신호 체계를 발견했고, 그 칼슘 신호가 귀중한 영양분을 인접한 활성 뉴런으로 유도한다는 걸 밝혀냈다"라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이 발견이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치료법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거로 기대한다.

메릴랜드대 의무(醫務) 부총장이자 의대 학장인 앨버트 리스(E. Albert Reece) 석좌교수는 "이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았으니 이제 알츠하이머병과 치매에서 어떻게 혈류가 교란되는지 연구할 수 있게 됐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여당發 의대신설 지지에 의료계 반발…여야의정協 참여 중단할까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민의힘이 경상북도 국립의대 신설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반쪽짜리'로 가동되던 여야의정 협의체가 위기에 처했다. 협의체에 참여 중인 일부 의료계 단체가 거취를 고민하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에서도 이들에게 탈퇴를 공개적으로 촉구하고 나섰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정갈등 해소를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가 가동되는 와중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대 신설을 지지한다는 발언을 내놓은 데 대한 의료계 내부의 불만이 확산하고 있다. 협의체에 참여하고 있는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도 협의체 논의에 뚜렷한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여당 대표가 의대 신설마저 언급하자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이들은 2025년 의대 모집인원 축소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자율성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세 차례 전체 회의에서 뚜렷한 성과가 나오진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대 학장은 "협의하는 도중에 한동훈 대표가 경북 국립의대 신설을 얘기하는 게 맞는 일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의대 학장들 사이에서도 협의체에서는 정원 조정을 얘기하는데 밖에서는 신설을 언급하면 진지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역량 갖춘 바이오 인재 절실…기업·대학 협업해 양성해야"
우리나라에서 첨단 바이오 분야 인재를 양성하려면 기업과 교육 기관이 협력해 경력 개발 프로그램, 인턴십 등을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까지 요구되는 바이오 분야 특성상 기업 등 단일 행위자의 노력만으로는 인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2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이달 발행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인력양성 및 확보 전략' 보고서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보고서는 우선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 발전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한계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했다. 올해 네이처 인덱스의 연구 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리, 화학에서 각각 6위, 7위를 기록했으나 바이오 관련 분야인 생물은 14위에 그쳤다. 네이처 인덱스는 글로벌 출판 그룹 네이처가 주요 자연과학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와 작성 기여도, 학문 분야별 가중치 등을 산출해 수치로 변환한 지표다. 네이처는 한국의 논문 성과와 연구개발(R&D) 지출을 비교하면 다른 국가와 비교해 '투자 대비 성과'가 부족하다고도 평가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바이오와 디지털 2개 분야를 접목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에 적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