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찐 사람이 오래 산다?...'비만의 역설' 근거 없는 얘긴 아니다

지방 조직이 심장에 보내는 '위험 신호' 체계 발견
단기·중기 심장병 예후, 비만한 사람이 더 좋을 수도
미국 텍사스대 연구진, 저널 '셀 머태볼리즘'에 논문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란 말이 있다.

 보통은 '살찐 사람이 마른 사람보다 오래 산다'는 속설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의학계도 주목하는 현상이다.

 단기 또는 중기적으론 비만한 사람의 심장 질환 예후(豫後)가 마른 사람보다 좋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장기적으로 보면 비만한 사람의 심장병 위험이 더 큰 게 사실이다.

 직관적으로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비만의 역설'이 실제로 가능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방 조직이 심장으로 '위험 신호'를 보내 비만이 유발하는 심장 조직 손상을 줄이게 한다는 게 요지다.

 이 신호 체계에도 미토콘드리아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미국 텍사스대의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UT Southwestern) 과학자들이 수행한 연구 결과는 20일(현지 시각) 저널 '셀 머태볼리즘'(Cell Metabolism)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실렸다.

백색지방의 뉴런

 비만으로 대사 스트레스(metabolic stress)가 쌓이면 서서히 지방 조직 기능에 이상이 생겨 '세포 발전소' 미토콘드리아가 쭈그러들어 죽게 된다.

 결국 이런 지방 조직은 음식물의 과도한 칼로리를 축적하는 능력을 상실하고, '지방 독성'(lipotoxicity) 효과로 다른 기관에 해를 끼친다.

 심장을 비롯한 일부 기관은 선제적 방어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기관들이 지방 조직의 기능 이상을 어떻게 감지하는지는 지금까지 알지 못했다.

UT 사우스웨스턴 연구팀은 먼저, 생쥐 모델의 유전자를 조작해 미토콘드리아의 변형과 기능 상실을 유도했다.

 이런 생쥐에 고지방 먹이를 먹여 살을 찌웠더니, 죽어가는 미토콘드리아 조각이 가득 찬 '세포 외 소포'(extracellular vesicles)가 지방 세포에서 배출되기 시작했다.

 미토콘드리아 조각 중 일부는 혈류를 타고 심장으로 이동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이런 상태로 몰리면 세포는 유해한 유리기(遊離基), 즉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게 된다.

 그런데 심장 세포는 이런 스트레스에 대응해 다량의 항산화 분자를 만들어 냈다.

 이 반발 작용의 효과는 매우 강력했다.

 미토콘드리아 조각이 든 세포 외 소포(小胞)를 생쥐에게 주입하고 심장마비를 일으키자 그렇게 하지 않은 생쥐보다 확연히 작은 조직 손상이 생겼다.

지방조직 염증

 이번 연구에선 또 비만 환자의 지방 세포도 이런 세포 외 소포를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생쥐 실험에서 확인된 지방 세포의 '위험 경보' 효과가 인간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그러나 '비만의 역설'이 끝까지 통하는 건 아니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결국 비만한 사람은 심장 등의 기관에 지방 독성의 타격이 누적돼 한꺼번에 여러 가지 질환을 앓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현실적인 응용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심장의 방어 메커니즘을 인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면, 비만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성공하기만 하면 이 치료법은 마른 사람의 심장 손상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클레어 크루(Clair Crewe) 박사는 "지방 조직의 위험 신호 체계를 더 깊이 이해하면 비만한 사람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심장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급여 항목' 보고제도에 의료기관 95% 참여…나머지 5% 과태료 부과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 항목 보고제도에 전체 의료기관의 95%가 참여했다고 보건복지부가 10일 밝혔다. 복지부는 올해 4월 15일 비급여 보고 제도를 전체 의료기관 7만2천815곳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했다. 지난해에는 병원급 의료기관 4천245곳만 참여했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의료법 등에 따라 의료기관이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 비용과 내역 등을 보건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제도다.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데, 이런 비급여 현황을 파악해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은 의료기관 5%는 의료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올해 보고 기간(4월 15일∼6월 30일)에 각 의료기관은 3월 진료내역 중 비급여 항목별 단가, 빈도, 상병명, 수술명 등을 보고했다. 올해 보고 항목은 총 1천68개로, 지난해(594개)보다 474개 늘었다. 복지부는 이번에 모은 비급여 보고 자료를 분석해 특정 질환 치료·수술 비용이나 진료 안전성·효과성 등 필요한 정보를 올해 안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