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후 꾸준하고 정확한 투약·생활습관 관리 중요"

 심근경색 후 재발을 막으려면 꾸준하고 정확한 투약과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 메디컬센터의 틴카 반 트리에르 심장전문의 연구팀은 심근경색 후 투약과 생활 습관만 제대로 관리하면 7.4년 이상 심근경색 재발이나 뇌졸중 없이 살아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8일 보도했다.

 이는 심근경색을 겪은 환자 3천200여 명의 조사 자료를 수학적 모델(mathematical model)로 분석한 결과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들은 대부분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관리하거나 혈전을 막는 약을 복용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약들의 용량과 편성이 미흡했고 생활 습관도 제대로 개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과 생활 습관 개선이 제대로 관리된 환자는 고작 2%에 불과했다.

 전체적으로 65%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여전히 높았고 40%는 고혈압에 머물러 있었다.

 또 생활 습관도 개선되지 않아 79%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었고 45%는 운동도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미국 내셔널 주이시 헬스(National Jewish Health)의 심혈관질환 예방 실장 앤드루 프리먼 박사는 단순한 투약만으로는 불충분하다면서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등의 수치가 적정 수준이 아닐 때는 투약하는 약물의 용량이나 편성을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채식 위주의 건전한 식습관, 운동, 체중 관리가 뒤따라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도널드 로이드-존스 미국 심장협회(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회장은 심근경색을 겪은 환자는 운동을 두려워하거나 우울증에 빠지거나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기엔 때가 이미 늦었다고 체념하기 쉽지만,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투약에 관해서는 항상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면서 특히 부작용이 있을 땐 투약을 중단할 것이 아니라 의사의 조언을 구해야 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