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전문의 진료 받으려면 빨간색 로고 찾으세요"

일반 환자 피부과 전문의 병원 구분 오답률 70% 이상
피부과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은 간판에 '○○피부과의원'으로 표기
비전문의 병원에서 피부과 진료할 때는 간판에 '○○의원 진료과목:피부과'로

 일반인 대부분은 피부질환을 앓을 때 피부과 전문의에 치료를 받고 싶어하면서도 정작 피부과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한피부과학회는 최근 6개월 내 피부 문제로 병원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피부과 전문의는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해 1년간의 인턴을 마친 후 피부과를 전공으로 선택해 4년간의 수련 과정을 마치고서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다.

 이번 조사에서 피부 질환과 피부 미용과 관련한 치료를 어떤 의사에게 받고 싶은지 물었을 때 피부질환은 97%, 피부 미용 문제는 90.6%가 피부과 전문의를 골랐다.

 거의 모든 응답자가 피부과 전문의에 치료를 희망했고, 53.1%(531명)는 피부과 전문의와 비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구분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 피부과 전문의와 비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정확히 구분하는 응답자는 소수에 불과했다.

 구분할 수 있다고 응답한 531명을 대상으로 ▲ 피부과 전문의 자격 구분 ▲ 피부과 전문의 병원 간판 구분 등 두 가지 문항을 추가 설문한 결과, 오답률은 각각 76.8%와 72%를 기록했다.

 실제 피부과 전문의 병원으로 방문했으나 피부과 전문의가 아닌 비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으로 아는 경우도 많았다.

  그 이유는 피부과라고 적혀 있으면 모두 전문의 병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72.4%),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의사는 모두 전문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18.4%) 순이었다.

 학회는 약 70% 이상의 응답자가 병원 간판의 표기로 인한 오해를 이유로 내세운 만큼 정확한 구분 방법을 숙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학회에 따르면 피부과 전문의 병원의 간판은 '○○피부과의원'으로 표기하고 있다. 또 간판에 빨간색 바탕의 사각형 안에 흰색 글씨로 피부과 전문의라고 쓰여있는 로고를 사용한다. 병원 입구에서는 대한피부과의사회 인증 마크를 확인할 수도 있다.

 반면 비전문의 병원에서 피부과를 간판에 표기할 때는 '○○의원 진료과목:피부과'로 하게 돼 있다.

 학회는 비전문의 병원에서 간판에 '진료과목'이라는 글씨를 누락하거나 '진료과목'이란 글씨가 눈에 잘 띄지 않게 간판을 제작하는 게 환자의 오인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