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음식 식중독 위험 피하려면?…식약처, 위생관리 매뉴얼 배포

음식량 많으면 소분해 냉장보관…섭취땐 꼭 가열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21일 배달 음식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배달 음식 위생관리 매뉴얼'을 배포했다.

 매뉴얼은 크게 음식을 주문하는 소비자와 조리하는 음식점, 배달하는 배달종사자가 각각 지켜야 할 위생 관리 요령으로 나뉜다.

 먼저 음식점에서는 조리 전·후 단계에서는 조리 종사자가 손 씻기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신선한 식재료와 육류·어패류를 다룰 때 사용한 조리도구는 깨끗이 관리해 교차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식중독균 발생 우려가 높은 어류·육류·가금류를 조리할 때는 식재료의 중심온도가 75℃(어패류 85℃)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식품 배달에 사용하는 용기는 '식품용 표시'가 있는 기준·규격에 적합해야 한다. 일회용 숟가락·일회용 젓가락 등은 '위생용품' 표시가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배달 종사자는 배달용 운반기구 등의 청결 상태와 배달 음식의 포장 상태를 확인하고, 따뜻한 음식과 차가운 음식이 서로 닿지 않게 구분해서 담아야 한다.

 소비자는 배달 음식을 받으면 즉시 섭취하되, 음식이 많을 경우에는 미리 작은 용기에 나눠 담아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보관된 음식을 먹을 때는 충분히 가열해야 하며, 보관 시기가 기억나지 않거나 냄새·상태가 좋지 않은 음식은 폐기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