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유형의 백혈구 항원 소유자, 감기 앓고나면 코로나19 면역 생긴다"

면역 손상 혈액암 환자도 효과, 표적 백신 개발 가능성 '주목'
일본 이화학연구소, 저널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와 감기 바이러스는 같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다.

 '코로나'라는 이름은, 스파이크 돌기가 표면에 뻗어 나온 바이러스 입자의 모양이 왕관과 비슷해서 붙었다.

 지금까지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는 신종 코로나를 비롯해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ㆍSARS-CoV),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ㆍMERS-CoV), 계절성 인간 코로나(HCoVs) 4종까지 모두 7종이 있다.

 이 가운데 '계절성 인간 코로나'가 흔히 말하는 감기 바이러스다.

 신종 코로나가 나타나기 오래전부터 인간은 같은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 즉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돼 왔다는 얘기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이 터지자 많은 과학자가 신종 코로나와 감기 코로나의 '교차 면역' 가능성에 주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물론 감기를 앓은 사람이라고 너나없이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이 생기는 건 아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이런 교차 면역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있을까.

 특정 유형의 백혈구 항원(HLA)을 가진 사람이 감기를 앓고 나면 코로나19에 대해 면역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유형의 항원 보유자가 코로나19에 걸리면 감염 세포를 파괴하는 킬러 T세포가 왕성한 반응을 보였다.

 이런 킬러 T세포는 감기 코로나의 특정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에 반응하는 면역 기억이 있었다.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면역 기억이 킬러 T세포를 자극해 코로나19에 대응하게 했다는 의미다.

 이 연구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통합 의학 센터의 후지 신이치로 박사팀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네이처 리서치에서 발행하는 오픈 액세스 저널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에 내달 2일 실린다.

 28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미리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일본 등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 흔한 A24형 HLA 보유자에 초점을 맞췄다.

 아시아 국가 주민이 상대적으로 신종 코로나 감염에 강한 이유를 밝히려는 목적도 있었다.

 유전자에 의해 유형이 결정되는 HLA는 인간의 주조직 적합성 항원(histocompatibility antigen) 중 하나다.

 장기 이식을 할 때 거부반응을 피하려면 우선 HLA 항원이 일치해야 한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A24형 HLA와 잘 결합할 거로 보이는 항원 결정기(epitope) 6개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찾아냈다.

 항원 결정기란 면역세포가 반응하는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말한다.

 이어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적이 없는 A24형 HLA 보유자의 말초 면역세포 반응을 관찰했다.

 A24형 HLA 보유자의 면역세포는 감염 전력이 없어도 'QYI 항원 결정기'라는 단일 펩타이드에 강하게 반응했다.

 놀랍게도 이 펩타이드를 기억하는 A24형 보유자의 킬러 T세포는, 다른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의 항원 결정기에도 '교차 반응(cross-reactivity)'을 보였다.

 이들 항원 결정기는 계절 감기 바이러스 등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에 잘 보존된 것들이었다.

 이런 교차 반응은 혈액암 환자에게도 나타났다.

 면역체계가 심하게 손상된 혈액암 환자가 코로나19에 걸리면 위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매우 크다.

 그런데 혈액암 환자에게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핫스팟(hotspot)'이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존재했다.

 QYI 항원 결정기 주변에 위치한 27번 아미노산이 바로 그 자리였다.

 실험 결과, 미감염 혈액 기증자는 100%가, 혈액암 환자는 65%가 이 핫스팟에 반응했다.

 이는 혈액암 환자와 같은 면역 손상 감염자에게 면역 반응을 증폭하는 백신 개발도 가능하다는  걸 시사한다.

 하지만 이번 연구의 최대 목표는, 코로나19 사망자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한다.

 후지 박사는 "신종 코로나 감염자의 체내에서 표적화된 T세포 반응을 강하게 자극하는 백신을 개발했으면 한다"라면서 "적어도 A24형 HLA 보유자에겐 이것이 가능하다는 걸 확인했다"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조만간 다른 유형의 HLA 보유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