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월 양육비 14만9천700원…평균 1.19마리 양육

 반려동물을 기르는 경우 반려견은 평균 1.19마리, 반려묘는 1.46마리를 양육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양육비는 반려견 14만9천700원, 반려견 12만5천700원 정도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이런 내용의 '2021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6일~10월 8일 전국 20∼64세 성인 5천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 중 반려동물 양육자는 1천296명이다.

 반려동물 양육자의 경우 평균 양육 마릿수는 2.83마리이며 종류별로는 물고기가 16.65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반려견 1.19마리, 반려묘 1.46마리, 햄스터 1.24마리 등이다.

 반려동물 한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는 12만3천500원이다.

 반려견은 14만9천700원, 반려묘는 12만5천700원이며 이 중 병원비는 반려견은 평균 4만2천500원, 반려묘는 4만1천500원이다.

 
반려동물 종류별 평균 양육 수

 반려동물 입양 경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은 경우가 44.3%로 가장 많고 이어 펫숍에서 구입(22.5%),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받음(8.8%) 등의 순이었다.

 유료로 분양받은 반려동물 양육자(548명)를 대상으로 입양 비용을 조사한 결과 펫숍 구입이 평균 49만8천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민간 동물보호시설로부터의 입양이 31만5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반려동물 양육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포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6.1%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물건 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 문제가 27.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2.2%), 동물이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함(18.9%), 이사·취업를 비롯한 여건 변화(17.8%) 등의 순이었다.

 
반려동물 마리당 평균 양육 비용(만원)

 동물등록 제도에 대해서는 55.2%가 알고 있다고 답했고 잘 모른다는 44.8%였다.

 동물등록 제도는 동물보호법에 따라 201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는 의무적으로 등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려견 양육자 중 동물을 등록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1.5%였다.

 외출 시 목줄·인식표 착용 등 반려견 소유자 준수 사항의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반려견 양육자의 경우 준수하고 있다는 응답이 79.5%였다.

반려동물 양육 포기 또는 파양 고려 이유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동물 학대 목격 시의 행동(복수 응답)에 관해 물은 항목에서는 경찰·지자체 등 국가기관 신고가 5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물보호단체 등에 도움 요청(45.5%), 학대자에게 학대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24.2%) 등의 순이었다.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3.1%였는데 그 이유는 시비에 휘말리기 싫어서가 48.8%로 가장 많았다.

동물학대 목격 시 행동 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건강검진 후 이상소견으로 진료시 본인부담금 면제기간 두 달 연장
건강보험공단 일반건강검진에서 당뇨병 등 이상 소견이 나와 의료기관 진료 시 최초 1회에 한해 본인부담금을 면제해주는 기간이 두 달가량 연장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이러한 내용의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안팎의 의견을 수렴 중이다. 개정안에는 건강검진 후 추가 진료와 검사에 대한 본인부담금 면제기한을 기존의 검진 실시 다음 연도 1월 31일에서 3월 31일로 연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건강보험공단 일반건강검진에서 고혈압, 당뇨병, 우울증·조기 정신증 등이 의심될 경우 검진 후 첫 의료기관에 방문 시 진찰료와 검사비 등 본인 일부 부담금이 면제된다. 이때 본인 부담금을 면제 받으려면 건강검진 후 이듬해 1월 31일까지 병의원에 방문해 확진 검사 등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개정안은 이 기간을 연장해 건강검진과 치료 연계를 제고하고 환자들의 편의를 개선하고자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일반건강검진 결과에 따라 추가 진료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다음 연도 1월 31일까지 본인부담금을 면제해주고 있는데, 그 기한을 연장해 건강검진이 연말에 쏠리는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정비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임신 기간 37주 미만에 태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