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월 양육비 14만9천700원…평균 1.19마리 양육

 반려동물을 기르는 경우 반려견은 평균 1.19마리, 반려묘는 1.46마리를 양육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양육비는 반려견 14만9천700원, 반려견 12만5천700원 정도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이런 내용의 '2021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6일~10월 8일 전국 20∼64세 성인 5천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 중 반려동물 양육자는 1천296명이다.

 반려동물 양육자의 경우 평균 양육 마릿수는 2.83마리이며 종류별로는 물고기가 16.65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반려견 1.19마리, 반려묘 1.46마리, 햄스터 1.24마리 등이다.

 반려동물 한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는 12만3천500원이다.

 반려견은 14만9천700원, 반려묘는 12만5천700원이며 이 중 병원비는 반려견은 평균 4만2천500원, 반려묘는 4만1천500원이다.

 
반려동물 종류별 평균 양육 수

 반려동물 입양 경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은 경우가 44.3%로 가장 많고 이어 펫숍에서 구입(22.5%),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받음(8.8%) 등의 순이었다.

 유료로 분양받은 반려동물 양육자(548명)를 대상으로 입양 비용을 조사한 결과 펫숍 구입이 평균 49만8천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민간 동물보호시설로부터의 입양이 31만5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반려동물 양육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포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6.1%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물건 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 문제가 27.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2.2%), 동물이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함(18.9%), 이사·취업를 비롯한 여건 변화(17.8%) 등의 순이었다.

 
반려동물 마리당 평균 양육 비용(만원)

 동물등록 제도에 대해서는 55.2%가 알고 있다고 답했고 잘 모른다는 44.8%였다.

 동물등록 제도는 동물보호법에 따라 201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는 의무적으로 등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려견 양육자 중 동물을 등록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1.5%였다.

 외출 시 목줄·인식표 착용 등 반려견 소유자 준수 사항의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반려견 양육자의 경우 준수하고 있다는 응답이 79.5%였다.

반려동물 양육 포기 또는 파양 고려 이유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동물 학대 목격 시의 행동(복수 응답)에 관해 물은 항목에서는 경찰·지자체 등 국가기관 신고가 5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물보호단체 등에 도움 요청(45.5%), 학대자에게 학대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24.2%) 등의 순이었다.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3.1%였는데 그 이유는 시비에 휘말리기 싫어서가 48.8%로 가장 많았다.

동물학대 목격 시 행동 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