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월 양육비 14만9천700원…평균 1.19마리 양육

 반려동물을 기르는 경우 반려견은 평균 1.19마리, 반려묘는 1.46마리를 양육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양육비는 반려견 14만9천700원, 반려견 12만5천700원 정도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이런 내용의 '2021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6일~10월 8일 전국 20∼64세 성인 5천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 중 반려동물 양육자는 1천296명이다.

 반려동물 양육자의 경우 평균 양육 마릿수는 2.83마리이며 종류별로는 물고기가 16.65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반려견 1.19마리, 반려묘 1.46마리, 햄스터 1.24마리 등이다.

 반려동물 한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는 12만3천500원이다.

 반려견은 14만9천700원, 반려묘는 12만5천700원이며 이 중 병원비는 반려견은 평균 4만2천500원, 반려묘는 4만1천500원이다.

 
반려동물 종류별 평균 양육 수

 반려동물 입양 경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은 경우가 44.3%로 가장 많고 이어 펫숍에서 구입(22.5%),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받음(8.8%) 등의 순이었다.

 유료로 분양받은 반려동물 양육자(548명)를 대상으로 입양 비용을 조사한 결과 펫숍 구입이 평균 49만8천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민간 동물보호시설로부터의 입양이 31만5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반려동물 양육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포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6.1%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물건 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 문제가 27.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2.2%), 동물이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함(18.9%), 이사·취업를 비롯한 여건 변화(17.8%) 등의 순이었다.

 
반려동물 마리당 평균 양육 비용(만원)

 동물등록 제도에 대해서는 55.2%가 알고 있다고 답했고 잘 모른다는 44.8%였다.

 동물등록 제도는 동물보호법에 따라 201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는 의무적으로 등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려견 양육자 중 동물을 등록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1.5%였다.

 외출 시 목줄·인식표 착용 등 반려견 소유자 준수 사항의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반려견 양육자의 경우 준수하고 있다는 응답이 79.5%였다.

반려동물 양육 포기 또는 파양 고려 이유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동물 학대 목격 시의 행동(복수 응답)에 관해 물은 항목에서는 경찰·지자체 등 국가기관 신고가 5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물보호단체 등에 도움 요청(45.5%), 학대자에게 학대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24.2%) 등의 순이었다.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3.1%였는데 그 이유는 시비에 휘말리기 싫어서가 48.8%로 가장 많았다.

동물학대 목격 시 행동 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