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의 전조' 간경화, 주범은 담즙산의 간 적체"

간경화 발생 분자 메커니즘 첫 규명
간세포 MCRS 1 결핍→담즙산 적체→섬유모세포 활성화→간 섬유증
스페인 CNIO 연구진, 유럽 간 학회 '간장학 저널'에 논문

 간경화(학술명 '간경변증')는 간염 등으로 인해 장기간 간세포 손상이 지속할 때 생긴다.

 간세포 손상은 간에 흉터가 축적되는 간 섬유증으로 진행되고, 이런 간 섬유증이 전체에 퍼지면 간경화가 된다.

 간경화는 그 자체로도 매우 위험한 병이지만, 치명적인 간암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간경화는 의학적 연구가 부족한 질병으로 꼽힌다. 질병의 특성상 실험에 쓸 만한 동물 모델이 부족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스페인 국립 암 연구 센터(CNIO) 과학자들이 간경화가 발생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처음 밝혀냈다.

 간경화의 발생엔 MCRS 1이라는 간세포 단백질과 담즙산이 핵심 역할을 했다.

 이 발견은 효과적인 간경화 치료법을 개발하고, 어떻게 간경화가 간암으로 진행하는지 규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로 보인다.

 관련 논문은 유럽 간(肝) 학회(EASL)가 발행하는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에 최근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간 조직의 섬유화는 섬유모세포(fibroblast)의 활성화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섬유모세포가 어떻게 섬유화 과정에 개입하는지를 밝혀냈다.

 간세포(hepatocytes)가 MCRS 1이라는 단백질을 생성하지 못하는 게 문제의 시작이었다.

 이렇게 되면 쓸개에 저장돼야 할 담즙산이 간에 쌓여 섬유모세포를 활성화하고 이것이 섬유증을 유발했다.

생쥐의 간경화 이미지

 CNIO의 '성장인자, 영양분, 암 연구 그룹'은 몇 년 전 MCRS 1 단백질이 대사 작용에 관여하고 몇몇 유형의 암과도 연관돼 있다는 걸 발견했다.

 당장 이 단백질이 간세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심이 쏠렸다. 인체 대사 작용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 간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MCRS 1 단백질이 발현하지 않게 유전자를 조작한 생쥐에 실험해, 인간의 간경화와 비슷한 간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된다는 걸 확인했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아만다 가리도 박사후연구원은 "간세포의 MCRS 1 결핍이 어떻게 간경화를 유발하는지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약물학적 전략을 개발하는 문을 열었다"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간 섬유증은 간 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s)의 변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간 성상세포가 섬유모세포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흉터 조직을 형성하는 물질이 합성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간 성상세포의 변형과 섬유모세포의 활성화를 촉발하는 메커니즘은 알지 못했다.

이번 연구에서 담즙산이 핵심 고리라는 게 드러났다.

 간세포가 MCRS 1을 만들지 못하면 담즙산의 흐름이 바뀌어 섬유모세포의 FXR 분자 수용체를 활성화했다.

 FXR 수용체는 간경화 발생 과정에 시동을 거는 스위치 역할을 했다.

 이 분자 경로는 간경화 치료법 개발의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다.

 아울러 간세포의 유전자를 제어하고 간의 정상 기능을 유지하는 MCRS 1의 알려지지 않았던 역할도 이번에 확인됐다.

 이 FXR 수용체는 이미 몇몇 간 질환 치료제의 표적으로 쓰이고 있다.

 미국에서 임상 시험 중인 반합성(semi-synthetic) 담즙산 제제 '오칼리바(Ocaliva)'가 그런 경우다.

 그런데 오칼리바의 잠정적 부작용 위험이 최근 미국 FDA(식품의약국)에 보고됐다.

 오칼리바는 일부 환자에게 심한 섬유증과 전격적인 간 손상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CNIO 연구팀이 이번에 발표한 실험 결과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우리의 데이터는 섬유증의 활성화에 담즙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시사한다"라면서 "이건 미래의 간경화 치료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칠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강조했 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