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유행한 포즈' 손바닥을 하늘로…요즘 대세는 뒤집힌 브이?

 

 손가락 하트, 깨물 하트, 볼 하트까지…

 이른바 '인싸(인사이더·인기 있는 사람들)'들이 카메라 앞에서 취하는 포즈는 변화에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데요.

 혹시 요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핫하다는 '갸루피스'를 들어보셨나요?

 바로 팔을 앞으로 높게 올리고 손가락 브이자(V)를 만든 다음 손바닥을 180도 뒤집어 아래로 향하게 하는 손동작인데요.

 에스파 지젤, 레드벨벳 조이, 엔믹스 설윤, 태연 등 유명 아이돌이 이 행렬에 동참하면서 이제 10대들 사이에서도 대세로 자리 잡았습니다.

 갸루피스는 소녀를 의미하는 '갸루'와 브이 사인을 뜻하는 '피스'가 합쳐진 말인데요.

 '갸루'는 1990년대 일본에서 성행했던 특유의 화장법과 스타일링을 일컫는 단어로 걸(Girl)을 일본식 발음으로 읽은 것입니다.

 당시 까무잡잡한 피부에 진한 눈화장이 특징인 '갸루족'이 사진을 찍을 때 쓰는 시그니처 포즈로 각광받았는데요.

 걸그룹 아이브의 일본인 멤버 레이가 최근 한국내 유행의 원조라고 해서 '레이피스'라고도 불리죠.

 레이는 한 라디오 방송을 통해 "옛날에 일본에서 유행한 포즈이며, 데뷔했을 때 여기 빠져 있기도 했다"고 말했는데요.

 하지만 뒤늦게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끌면서 시선이 곱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일본스럽다, '하필 일본 문화라 거부감이 든다','자꾸 이상한 것만 가져온다.' 등 질타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반면, 일명 'K하트'라 불리며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까지 퍼졌던 손가락 하트를 예로 들며 '포즈는 포즈일뿐 문제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은데요.

 근래 레트로 열풍을 타고 재유행하는 것인데 일본이 '종주국'이라는 이유만으로 비난해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김성수 대중문화평론가는 "이러한 제스처엔 특정 메시지가 담겨 있기도 한 만큼 그냥 넘어갈 일은 아니다"라고 짚었습니다.

 즉, 이 동작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됐는지, 그대로 받아들여도 괜찮은지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인데요.

 특히, K팝 스타 안무에 쓰일 경우 자칫 한류 정체성에 시비거리가 되는 등 악용될 소지도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