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 주라놀론, 산후 우울증에도 효과"

 미국의 바이오 제약회사인 세이지 세러퓨틱스(Sage Therapeutics)가 개발한 새로운 우울증 치료제 주라놀론(zuranolone)이 산후 우울증에도 효과가 상당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출산 후 4주에서 12개월 사이에 8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하는 산후 우울증은 슬픔, 불안, 극심한 피로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태어난 아기를 돌보지 않고 아기를 해칠 수 있으며 자살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다.

 미국 뉴욕 파인스타인 의학 연구소(Feinstein Institutes for Medical Research)의 크리스티나 델리기아니디스 교수 연구팀은 주라놀론이 산후 우울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통계학적, 임상적으로 상당히 크다는 3상 임상시험(SKYLARK Study)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3상 임상시험은 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98명)에는 주라놀론 50mg을 매일 투여하고 다른 그룹(97명)에는 위약(placebo)을 14일간 투여하는 방식으로 45일 동안 진행됐다.

 그 결과 주라놀론 그룹은 투약 3일째부터 산후 우울증이 진정되기 시작해 투약 15일째는 1차 평가변수(목표수준)까지 도달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투여 3일째에는 우울증세가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HAMD-17: 17-item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점수가 임상시험 전보다 9.5점 낮아지고 15일째에는 15.6점 낮아졌다.

 28일째에는 16.3점, 45일째에는 17.9점 낮아졌다.

 이에 비해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은 3일째에 6.1점, 15일째에 11.6점, 28일째에 13.4점, 45일째에 14.4점 낮아지는 데 그쳤다.

 주라놀론 50mg은 내약성과 안전성이 대체로 양호했다.

 부작용은 졸림, 어지러움, 두통, 설사, 오심, 요도 감염 등으로 중증도는 경증 내지 중등도(moderate)였다.

 '의사 금단 체크리스트'(Physician Withdrawal Checklist) 평가에서 금단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고 '컬럼비아 대학 자살 심각성 평가 척도'(Columbia-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평가에서는 자살 생각이나 자살 행동 위험이 높아지지 않았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세이지 사가 발표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