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진, 알츠하이머 '맞춤형 치료법' 개발 단서 발견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진과 공동 연구…국제학술지 게재

 서울대 연구진이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진과 함께 알츠하이머병의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서울대는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이 UCL 존 하디 교수 연구팀과 함께 알츠하이머병 '환자 군집'의 세 가지 유형을 규명하고 군집 형성의 원인을 발견해 표적 치료제 개발의 초석을 놓았다고 밝혔다.

 인지기능 저하와 신경세포 감소 등을 불러오는 알츠하이머병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는 것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밖에도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해 발생하는 다원인성 질환으로 학계에서는 보고 있다.

 따라서 겉보기엔 차이가 없는 환자들이라도 세부적인 동질성에 따라 분류하는 '군집'(소규모 하위집단)이 다를 수가 있는데,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 내 존재하는 여러 군집의 특징을 규명해낸 연구는 없었다.

 묵 교수 연구팀은 이 군집의 존재와 발생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알츠하이머병 환자 170명을 대상으로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 등 데이터를 혼합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인 '비지도 다중오믹스 기법'(Unsupervised Multi-Omics Analysis) 등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들 내에 세 가지 종류의 군집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이 군집 형성이 뇌와 혈액에서 작용하는 세포 자가포식 메커니즘(세포 내 불필요하거나 기능이 저하된 세포소기관을 분해하는 메커니즘)의 차이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묵 교수는 "겉으로 비슷해 보이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라도 특징이 서로 다른 하위 군집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치료법을 적용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라며 "맞춤형 의약품 개발에 중요한 지표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SCI급 최고 수준의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온라인판에 지난 13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