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일정](7일·목)

[정치]
▲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박홍근 원내대표, 문화미래리포트 2022(14:30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B2F)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라이브 출연(07:35)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 제38대 한국교총 회장단 취임식(16:00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한국교총 1층 컨벤션홀)
    박홍근 원내대표, 정책조정회의(09:30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박홍근 원내대표, 화물차 유가보조금 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간담회(14:30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
▲ 정의당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 비상대책위원회의(09:30 국회 본관 223호)

[한반도]
▲ 박진 외교부 장관, 싱가포르 방문(∼7/7)
▲ 박진 외교부 장관, G20외교장관회의 참석(인도네시아 발리, ∼7/8)
▲ 외교부, 에콰도르 외교차관 면담(16:00)
▲ 국방부, 제1회 성폭력.성희롱 대응협의체(14:00)

[경제]
▲ 거래소, 'KRX ESG 포럼 2022' 개최(14:00 여의도 사옥 콘퍼런스 홀)

[산업]
▲ 산업부, 무보 창립 30주년 기념식(10:30 무보)
▲ 산업부, 통상교섭민간자문위원회(14:00 롯데호텔)
▲ 농식품부, 한농연 출범식(15:00 서울)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규제개선 간담회(10:00 하남시청 회의실)
▲ 국토부, 도로의날 기념식(14:50 서울)
▲ 삼성·LG전자 잠정 실적발표
▲ 중기중앙회, 중소기업 규제발굴 현장 간담회(10:00 하남시청 회의실)

[IT의료과학]
▲ 원자력안전위원회, 제160회 회의(10:30 원안위 대회의실)
▲ 과기정통부, 디지털 인재양성 민·관 협력 간담회(14:30 LG AI연구원) 
▲ 과기정통부,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15:00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회]
▲ 중대재해예방과 안전권실현을 위한 학자전문가 네트워크,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엄정한 집행과 시행령 개정에 대한 의견 발표 기자회견(10:00 대통령 집무실 앞)
▲ '회계부정·부당합병'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1심 속행 공판(10:00 서울중앙지법 417호)
▲ '246억 횡령' 계양전기 재무팀 대리 1심 속행 공판(10:00 서울중앙지법 425호)
▲ '음주측정 거부·경찰관 폭행' 장용준 2심 속행 공판(10:30 서울중앙지법 422호)
▲ '채널A 사건' 이동재 전 기자 해고무효 소송 1심 속행 변론(10:40 서울중앙지법 562호)
▲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등,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 당사자 편견 강화하는 영화 범죄도시2 규탄 기자회견(11:00 인권위 앞)
▲ 인천공항공사 3분기 정례 브리핑(11:00 T1 기자실)
▲ 법무부, 검·경 협의체 실무협의회 2차 회의(14:00 과천 청사)
▲ 변협, 법조 및 의료인력 상대 테러행위 대응 공동 기자회견(14:30 변협회관 14층)
▲ 한동훈 법무부 장관, 미국 출장 귀국(17:35 인천공항 예정)
▲ 서울시청, '2022 지구에게 아름다운 패션쇼'(17:00 DDP 미래로 하부광장)

[정책사회]
▲ 교육부, 국가재정전략회의(10:00 충북대학교)
▲ 서울교육청, 2022 먹거리 생태전환 박람회(13:30 코엑스)
▲ 복지부, 의료 AI데이터 중심 병원 현장 간담회(13:30 연세대 세브란스)
▲ 복지부, 보건의료인력정책심의위원회(16:00 가든호텔)
▲ 식약처, 제1회 식의약 안전 열린 포럼(14:00 서울)
▲ 환경부, 제5차 적극행정위원회(14:00 세종)
▲ 여가부, 제5회 서울인구심포지엄(09:00 여의도 콘래드호텔)

[경기]
▲ 경기도, 온세미컨덕터 협약식(10:00 부천시 온세미코리아)

[인천]
▲ 제26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개막식(19:00 부천시청 잔디마당)

[경남]
▲ 창원상의, 경남 경제계 신기업가정신 선포식(11:00 창원컨벤션센터)
▲ 빅데이터·인공지능(AI) 교육 플랫폼 '아이톡톡' 개발 현황 보고회(10:00 도교육청 공감홀)
▲ 경남관광재단-KTX, 업무협약식(15:00 창원세코)
▲ 창동예술촌 개촌 10주년 기념식(17:30 창동 아고라광장)
▲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재개관' 기념식(14:00 월성우주창의과학관)
▲ 해군교육사령부 전투수영(13:00 교육사령부 전투수영장)

[대구경북]
▲ 경북도 탄소중립 지원센터 개소식 및 탄소중립 기술혁신 포럼(15:00 금오공대)
  
[울산]
▲ 현대중공업, 해녀 잠수복 지원 행사(10:30 슬도 소리박물관 뒤 광장)
▲ 울산시-LG유플러스, 지역관광 활성화 협약식(10:15 시청 상황실)
▲ 울산시-덕산하이메탈, MSB 생산공장 증설 MOU(14:00 시청 상황실)

[광주전남]
▲ 강기정 광주시장, 민선 8기 청사진 발표(14:00 광주시청 중회의실)
▲ 해남 기업도시 연료전지 사업 유치 협약(11:00 전남도청)

[전북]
▲ 전북교육감 인수위원회 중간보고 기자회견(10:30 전북도교육청)

[대전충남]
▲ 계룡세계군문화엑스포 민간조직위원장 위촉식(10:30 접견실)
▲ 대전시의회 제266회 임시회 본회의(10:00 대전시의회 본회의장)
   
[강원]
▲ 평창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포럼(09:30 휘닉스 평창 아젠다 1홀)
▲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주민 설명회(13:30 고성문화의집 문화 관람실)

[제주]
▲ 제주교육감직 인수위원회 마무리 기자간담회(10:00 교육청 기자실)

[국제](현지시간)
▲ 워싱턴, 블링컨, G20 장관회의차 인도네시아 방문
▲ 워싱턴,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미 동부시간 08:30)
▲ 베를린, 유럽의회, 전체회의(∼7일 스트라스부르) 
▲ 도쿄, 하야시 외무상, G20 외교장관회담 참석(∼8일, 인도네시아 발리)
▲ 베이징, 중국외교부 정례 브리핑(15:00 중국 외교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여름철 영유아 수족구병 증가세…"손씻기·소독 관리 중요"
여름철을 맞아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15∼21일) 전국 표본 감시 의료기관 110곳을 찾은 수족구병 증상 환자는 진료환자 1천 명당 5.8명으로, 전주(2.7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최근 2주 연속 증가세다. 특히 0∼6세에선 1천 명당 8.3명으로, 영유아를 중심으로 환자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통상 매년 5월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수족구병 발생이 증가해 6∼9월 중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당분간 환자가 계속 늘어날 수 있다고 질병청은 내다봤다.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인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바이러스성 질환이다. 환자의 대변이나 분비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분비물로 오염된 물건 등을 만지는 경우 전파된다. 손, 발, 입안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설사, 구토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3∼4일이 지나면 증상이 호전되고 대부분 7∼10일 지나면 낫지만 드물게 뇌막염, 뇌염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씻기 등 위생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특히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손씻기와 물품 소독 등 위생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에 뿌리는 독감 백신 '플루미스트', 공중보건 강화 기여"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인플루엔자 백신 '플루미스트'에 대해 "주사 대신 비강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편의성과 수용성을 높여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호흡기면역사업부 김지영 전무는 지난 27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플루미스트 국내 허가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전했다. 플루미스트는 비강 스프레이 방식의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았다. 24개월 이상 49세 이하의 소아 및 성인은 이 백신에 함유된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및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플루엔자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윤경 교수는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인플루엔자는 매년 전 세계에서 약 10억건의 감염을 일으킨다"며 "이 가운데 300만∼500만 건이 중증 질환으로 이어지고 최대 65만명이 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1∼4세 소아에서 다른 연령 대비 인플루엔자로 인한 입원이 가장 많다"며 "소아 대상 백신 접종은 지역사회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플루미스트가 인플루엔자 백신의 좋은 선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