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일 조간)

▲ 경향신문 = 고 이예람 중사 전출 부대서 또 성추행, 공군 정신 못 차리나

만 5세 취학 사실상 철회, 윤 대통령과 정부는 성찰해야

관저 공사 김 여사 관련 업체에 맡기고 황당 해명한 대통령실

▲ 국민일보 = 코로나 누적 2000만명…고령층 의료대책 시급하다

대만서 충돌하는 미·중…한국 외교전략 더 정교해야

반도체 패권 경쟁 속, 지역 이기주의에 매몰된 지자체

▲ 서울신문 = 벼락치기 경찰국 출범, 민주적 통제 빈틈없어야

친분 사칭·관저 공사 구설, 특별감찰관 필요한 이유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연금개혁에 명운 걸어라

▲ 세계일보 = 미·중의 '대만 갈등' 격화, 정교한 외교전략 짜야 할 때다

행안부 경찰국 논란 속 출범, 더는 국민 불안케 하지 말길

물가 6.3% 급등…정부는 인플레 악순환 차단해야

▲ 아시아투데이 = 물가 2달 연속 6%대, 추석 물가도 큰 걱정이다

경찰국 출범, 민주적 통제와 중립성 모두 지켜야

▲ 조선일보 = 외환위기 수준 高물가, '9유로 티켓' 같은 창의적 해법 찾아야

올해 선거비 대부분 보전받고도 세금 867억원 따로 챙긴 與野

반도체 경쟁력 강화법, 국익 위한 초당적 협치 보여주길

▲ 중앙일보 = 국회로 가는 반도체 지원법, 초당적으로 통과시켜야

미·중, 대만해협 치킨 게임 안 된다

▲ 한겨레 = 생활물가 7.9% 상승, 커가는 서민 고통·내수 침체 우려

국정 난맥에도 '비상 상황' 인식조차 없는 대통령실

김 여사 논문 '유지', 국민대는 학문적 양심 부끄럼 없나

▲ 한국일보 = 의원 욕하는 플랫폼' 제안한 이재명, 부작용 모르나

펠로시 대만 방문에 최고조 달한 미중 갈등

물가 24년 만에 최고…서민들은 추석이 두렵다

▲ e대한경제 = 집단 반발 사는 학제 개편안, 사회적 합의 과정 거쳐야

24년 만에 두 달 연속 6%대 高물가, 아직 정점은 오지 않았다

▲ 디지털타임스 = 尹부부 친분 사칭 '법사' 논란…'국기문란 실체' 꼭 밝혀야

초고물가로 서민 삶 최악인데 정부는 시간만 가길 기다리나

▲ 매일경제 = 교사 과잉 오죽하면 교대총장이 "더 안뽑아도 된다" 하나

민생 법안 국회에 발목 잡혀있는데 여당 자중지란 한심하다

아파트 층간소음 사후 확인제, 입주지연 배상도 명확히 해야

▲ 브릿지경제 = 하반기 물가안정에 모든 정책적 노력을

▲ 서울경제 = 5세 입학' 졸속 정책이 정부 신뢰 떨어뜨린다

日보다 많은 최저임금, 글로벌 정글서 경쟁력 가질 수 있나

4개월째 무역적자·물가 폭등…외환위기 악몽 떠올린다

▲ 이데일리 = 소비자물가 두달째 6%대, 물가고삐 확실히 조여야

혈세로 메울 관제 뉴딜 펀드 수익, 뒷감당 누가 하나

▲ 전자신문 = 정부, CSAP 완화 신중해야

반도체 강화'에 여야 없다

▲ 파이낸셜뉴스 = 23조 파급효과' 한식산업을 미래동력 삼자

수교 30년 앞두고 리셋 불가피한 한중 관계

▲ 한국경제 = 시대착오적 대형마트 영업 규제, 이제 폐지할 때 됐다

현대제철 노조의 '사장실 불법 점거' 93일간 방치한 경찰

'자택 휴가' 들어간 尹대통령…국민 공감할 쇄신책 주목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야간 소아환자 뺑뺑이' 막아라…심야 소아 진찰료 2배로
정부가 야간 소아 진찰료를 2배로 올리고,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에게 매월 100만원의 수당을 지급하는 등 '소아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와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도 확충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이런 내용이 담긴 '소아 의료체계 개선 후속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2월 발표한 개선대책의 틀에서 구체적인 계획들을 내놓은 것으로, 국고와 건강보험 재정 등 약 3천억원 규모의 자금이 우선 투입될 계획이다. ◇ '소아과 전공 기피' 막아라…수련수당 더 주고, 수가도 높인다 이번 대책은 저출생 등으로 위기에 놓인 소아청소년과를 살리고자 전공의들의 소아과 지원을 끌어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의료계는 높은 수련 비용과 의료사고 시 법적 부담 등으로 전공의들의 소아과 기피가 심해진다고 주장한다. 올해 상반기 소아과 전공의 모집 지원율은 정원 대비 16.6%에 그쳤다. 정부는 소아과 전공의와 소아 분야 전임의를 대상으로 매월 100만원씩의 수련보조수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고의가 아닌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해 현실성 있는 보상방안을 검토한다. 법률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체를 도입해 소아 의료인의 법적 부담도 덜어준다. 지난 2017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증 아토피 피부염에 면역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권장"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는 면역 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가 권장할 만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질환이다. 바르는 약으로 호전이 안 될 정도의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는 사이클로스포린,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면역 조절제가 사용된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피부과학 연구소 소아 피부과 전문의 크라스텐 플로르 교수 연구팀이 영국과 아일랜드의 13개 의료센터에서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아이들과 청소년 103명(2~16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미국 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52명에게는 사이클로스포린, 51명에게는 메토트렉세이트가 9개월 동안 경구 투여됐다. 치료가 계속되는 9개월 동안은 증상 호전의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가 끝난 후 6개월까지 경과를 추적 관찰했다. 치료 시작 12주까지는 사이클로스포린이 메토트렉세이트보다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증상의 중증도도 더 좋아졌다. 그러나 치료비용이 상당히 더 들었다. 메토트렉세이트는 12주 이후와 치료가 끝난 후 객관적인 증상 억제가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