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 전이 부추기는 유형도 있다

12형 콜라겐 수위 상승, 유방암 전이와 연관성 확인
호주 가반 연구소,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논문

  어떤 암 종양을 둘러싼 생태계를 종양 미세환경이라고 한다.

 암 종양과 주변 미세환경은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고, 이것은 당연히 종양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종양 미세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이다.

 콜라겐은 체내 단백질의 약 30%를 차지하지만, 종양 미세환경에서도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콜라겐이 종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려진 게 거의 없다.

 인체 내 콜라겐이 암의 발달과 전이에 직접 관여한다는 게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번에 확인된 건 흔하지 않은 부류에 속하는 12형 콜라겐이다.

 종양 미세환경에서 이 콜라겐 수위가 올라가면 유방암의 전이를 촉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유형의 콜라겐은 또 종양의 세포외 기질이 형성될 때 핵심 역할을 했다.

 호주의 가반 의학 연구소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6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으로 실렸다.

 지금까지 인간의 몸 안에서 발견된 콜라겐은 모두 28종이다.

 하지만 흔하게 볼 수 있는 건 1형ㆍ2형ㆍ3형ㆍ5형ㆍ10형 등 5개 정도다. 1∼3형이 대략 90%라고 보면 된다.

 콜라겐은 뼈, 피부, 연골, 결합 조직 등을 구성한다.

 세포외 기질은 보통 300∼400개의 분자로 구성된 입체 망사형 구조인데 콜라겐 단백질도 몇 종 들어 있다.

 물론 종양 미세환경에만 세포외 기질이 존재하는 건 아니다.

 이런 기질은 기능과 구조 면에서 몸 안 곳곳의 세포와 조직을 지지한다.

 연구팀은 종양의 세포외 기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해 포괄적인 DB(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특히 12형 콜라겐을 눈여겨봤다.

 이 콜라겐은 다른 유형의 콜라겐이 형성될 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세포외 기질이 입체 구조로 만들어지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의 유방암 종양을 전 임상(pre-clinical) 초기부터 세밀히 관찰했다.

 여기서 종양이 발달함에 따라 세포외 기질을 구성하는 분자도 상당수 변한다는 걸 확인했다.

흥미로운 부분은 12형 콜라겐 수위가 높아지는 것이었다.

 12형 콜라겐은 종양의 성질을 바꿔 더 공격적인 암으로 만드는 것 같았다.

 특히 콜라겐이 구성되는 메커니즘에 변화를 가져오는 게 눈길을 끌었다.

 12형 콜라겐은 이를 통해 유방 종양에서 이탈한 암세포 무리가 폐 등 다른 기관으로 전이하는 걸 도왔다.

 콜라겐 수위를 조절하면서 실험해 보니, 12형 콜라겐 수위가 상승하면 암세포의 전이도 증가했다.

 암 환자의 종양 조직 생검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12형 콜라겐의 수위 상승은 분명히, 암세포의 전이 증가 및 생존 기간 단축과 관련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종양 미세환경의 어떤 요소가 암을 더 공격적으로 만드는지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토마스 콕스 부교수는 "암세포가 씨앗이라면 종양 미세환경, 특히 세포외 기질은 토양과 같다"라면서 "12형 콜라겐이 유방암의 발달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게 확인됐다"라고 말했다.

 12형 콜라겐은 새로운 전이암 치료 전략의 유망한 표적이 될 거로 보인다.

 공격적인 전이암을 미리 가려내는 진단 지표로 개발될 가능성도 크다고 한다.

 예컨대 유방암 환자의 종양 생검 등을 통해 12형 콜라겐 수치를 측정하면, 전이 확률이 높은 공 격적인 종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