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 "생각만으로 로봇팔 원하는 방향 제어"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다양한 의료보조기기 활용 기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뇌인지과학과 정재승 교수 연구팀이 인간 뇌 신호를 해독해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사람이 생각만으로 기계를 제어할 수 있는 뇌·기계 인터페이스는 팔에 장애가 있는 환자 등이 로봇 팔을 제어해 일상에 필요한 동작을 할 수 있는 보조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려면 인간이 팔을 움직일 때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기계학습 등 다양한 인공지능(AI) 분석기법으로 뇌 신호를 해독해 의도한 움직임을 뇌 신호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디코딩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정천기 교수팀과 함께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팔을 뻗는 동작을 상상할 때 관측되는 대뇌피질 신호를 분석, 환자가 의도한 팔 움직임을 예측하는 '팔 동작 방향 상상 뇌 신호 디코딩'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환자가 상상한 팔 뻗기 방향을 최대 80% 이상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었다.

 실제로 로봇 팔을 구동하고 의도한 방향으로 로봇 팔이 이동하는지 테스트를 진행했고, 네 가지 방향에 대한 의도를 읽어 정확하게 목표물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사지마비를 비롯해 운동장애를 겪는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 팔을 제어할 수 있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정확도 향상, 효율성 개선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재승 교수는 "장애인마다 다른 뇌 신호를 맞춤형으로 분석해 장기간 훈련을 받지 않더라도 로봇 팔을 제어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앞으로 의수를 대신할 로봇 팔을 상용화하는 데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뇌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저널 오브 뉴럴 엔지니어링'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