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감영재생산지수 1에 근접…겨울 재유행 정체 이어질까

신규확진 사흘째 전주 대비 감소…감염재생산 수준 겨울 재유행 최저치
코로나19 위험도 5주째 '중간' 유지, 중환자 병상 가동률 32%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1주일 전보다 줄어드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향후 유행세를 가늠할 수 있는 감염재생산지수가 낮아져 1에 근접하면서 정체세가 이어지거나 감소세로 전환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8일 이후 이날까지 사흘째 1주일 전 대비 감소했다.

 28일과 29일, 30일 각각 1주일 전 대비 750명, 1천384명, 2천891명 줄어들며 감소 폭이 커지고 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10월3주(10월16~22일) 이후 6주째 1을 넘었지만 점차 낮아지면서 11월 4주(11월 20~26일)에는 1.01로 1에 근접했다.

 이는 올겨울 7차 유행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10월 3주 이후 감염재생산지수는 1.09→1.17→1.21→1.10→1.10→1.01이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11월 4주 일평균 확진자 수는 5만3천973명으로, 11월 3주의 5만2천429명보다 1천508명 소폭 늘었다.

 1주일 전 대비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18~22일 마이너스(-)였다가 23~27일 닷새간은 다시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후 재차 상황이 바뀌어 이날까지 사흘간은 1주일 전보다 신규 확진자 수가 적었다.

코로나 겨울 재유행 정체 이어질까…감염재생산지수 1에 근접 - 2

 감염당국이 향후 유행세 전망에 대해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이번 유행의 정점이 시작됐다는 전망도 나온다.

 방역당국은 이날 코로나19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에 대해 '중간'으로 평가했다. 10 월 4주 이후 5주째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방대본은 "신규 및 재원 위중증 환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전국 기준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3주 연속 30%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11월 4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15.3% 증가한 460명이었다. 이 기간 일평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8.8% 감소한 49명으로 집계됐다.

 전국 기군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32.0%로 직전주보다 0.1%p 낮아졌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도 3%p 하락해 44.2%를 기록했다.

 그동안 유행에서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해 세력을 넓히는 과정에서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유행에서는 이런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기존 우세종인 BA.5 변이의 점유율(해외유입 포함)은 77.5%로 직전주보다 2%p 줄었지만, 감소폭이 미미했다. BF.7(1.7%→2.6%), BQ.1.1(3.1%→3.8%), BA.2.75(1.8→3.9%) 등이 점유율을 늘렸지만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