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가슴압박장치 활용 확대…심정지 환자 다수 발생 대비

 소방청은 다수 심정지 환자 발생에 대비해 기계식가슴압박장치 보급과 활용 확대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5일 밝혔다.

 기계식가슴압박장치는 열차 및 항공기 등 좁은 공간, 소생술이 길어지거나 인력이 부족한 경우 등 특수한 상황에서 가슴압박의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다.

 전국 구급대 1천601개대 중 1천59개대가 보유하고 있다.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출동한 구급대 149개대 가운데 46개대가 기계식가슴압박장치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중 3개대만 이를 사용해 사용률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장비는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초기 사용보다는 환자의 상태변화를 지켜보며 이송 직전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는 사용률이 저조했던 것이라고 소방청은 분석했다.

 한편, 2021년 구급대원에게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 3만2천634명 가운데 기계식가슴압박장치의 도움을 받은 비율은 29.4%(9천607건)이었으며, 2019년 20.2%, 2020년 25.7%에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었다.

 소방청은 다수사상자 발생 시 기계식 가슴압박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모든 구급대에 이 장비를 보급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하고, 이달 중 장비 활용 동영상을 배포하는 등 교육훈련을 강화한다.

 또 다수사상자 발생 시 심정지환자의 심폐소생술 시행 및 유보결정, 기계식가슴압박장치 사용에 대한 지도의사 판단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이를 대한응급의학회 등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