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종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세계신경재활학회장 추대

 분당서울대병원은 백남종 재활의학과 교수(분당서울대병원장)가 지난 14∼1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12회 세계신경재활학회(World Federation for NeuroRehabilitation)에서 차기 회장에 추대됐다고 19일 밝혔다.

 1996년 설립된 세계신경재활학회는 신경재활 분야에 종사하는 의사, 연구자, 치료사, 임상심리사 등 5천여 명의 회원을 둔 학술단체로 한국인이 회장으로 추대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백 교수의 임기는 2026년부터 2년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연구원장 "소아과 낮엔 텅…의사소득 논란은 '가진자 증오'"
우봉식 대한의사협회(의협) 의료정책연구원장이 의대 입학정원 증원 등 정부가 추진하는 필수의료 혁신방안을 두고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6일 보건의료계에 따르면 우 원장은 최근 발간된 의협의 계간 '의료정책포럼'에 '필수의료 위기와 의대정원'을 주제로 한 시론을 올렸다. 우 원장은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 필수의료 공백의 대표적 현상을 두고 정부가 잘못된 진단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응급실 뺑뺑이는 과거 우리나라에 응급환자 분류·후송을 담당하는 '1339 응급콜'이 법 개정에 따라 119로 통폐합되면서 생긴 일"이라며 "법 개정 이후 전문성이 없는 소방대원이 응급환자를 대형병원으로만 보내니 경증 환자가 응급실 내원 환자의 90% 가까이 차지하게 됐고, 이 때문에 중증 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뺑뺑이'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1339 전화번호를 통한 응급의료 상담 서비스는 국민 편의 차원에서 인지도가 높은 119로 통합되면서 2013년 6월 폐지됐다. 우 원장은 또 "소아과 오픈런도 마찬가지로, 저출산으로 소아 인구가 줄면서 의원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며 "게다가 젊은 엄마들이 조금이라도 진료가 마음에 안 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름개선 '보툴리눔 톡신' 경험자 70% 효과 감소 경험…내성 의심"
"우리나라는 젊은 나이부터 보툴리눔 톡신을 반복적으로 여러 부위에 사용해 미국보다 훨씬 높은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는 6일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안전한 보툴리눔 톡신 사용 문화 조성을 위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한국위해관리협의회 산하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가 보툴리눔 톡신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형성하고자 열었다. 흔히 '보톡스'로도 불리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는 미간 주름 개선 등 미용 성형 시술에 쓰는 바이오 의약품으로, 최근에는 편두통, 다한증 등의 치료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날 간담회에서 박제영 압구정오라클피부과의원 대표원장은 보툴리눔 톡신 시술 경험이 있는 국내 20~59세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56%가 연 2회 이상 보툴리눔 톡신을 맞고 있었으며, 51%는 한 번에 두개 부위 이상을 시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툴리눔 톡신 시술 효과가 떨어진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74%에 달했다. 이들이 모두 내성을 실제로 경험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