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32조9천억원…역대 최고

의약품 수출 28.2% 증가한 12조6천749억원…3년만에 무역흑자 전환
바이오의약품 생산 6조원 첫 돌파…26.4% 증가

 작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10년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의약품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28% 이상 급증하면서 무역수지가 3년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 의약품 생산 10년째 증가…무역수지 3년만에 흑자 전환

 의약품 생산실적은 2015년 16조9천696억원에서 2017년 20조3천580억원, 2021년 25조4천906억원, 2023년 30조6천396억원, 작년 32조8천629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의약품 생산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29%, 전체 제조업 분야 GDP 대비 4.8%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5%로 같은 기간 GDP 성장률(5.5%)보다 높았다.

 국내 의약품 중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비율은 86.6%였으며 원료의약품은 13.4%였다.

 작년에는 원료의약품 성장세가 두드러져 전년 대비 16.8% 증가한 4조4천7억원을 기록했다.

 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 비율은 85.1%였으며 일반의약품은 14.9%였다.

 일반의약품은 전년 대비 9.9% 증가한 4조2천357억원을 기록했다.

 의약품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셀트리온, 한미약품, 종근당 등 3곳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셀트리온은 전년 대비 62.5% 증가한 2조5천267억원을 기록해 전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이들 업체의 총 생산실적은 5조408억원으로 전년 대비 28.2% 증가하면서 전체 생산실적 대비 비율도 15.3%로 증가했다.

 생산실적에 수입실적을 더하고 수출실적을 제외한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는 31조6천965억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작년 의약품 수출실적은 12조6천749억원으로 전년 대비 28.2%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020년 이후 최고 수준인 1조1천664억원을 기록하며 3년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수입실적의 경우 한국화이자제약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의 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117.2% 증가한 6천700억원을 기록하며 1위 자리를 되찾았다.

 한국노바티스와 한국엠에스디가 뒤를 이었다.

 ◇ 바이오의약품 생산 6조원 첫 돌파…의약외품 시장은 축소

 작년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26.4% 증가한 6조3천125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6조원대에 진입했다.

 식약처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백신, 독소·항독소 등 모든 제제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인 데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생산실적은 북미, 중남미, 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와 수출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42.7% 급증하며 전체 바이오의약품 중 58.1%를 차지했다.

 이어 백신(13.3%), 독소·항독소(10.7%), 혈장분획제제(8.7%), 혈액제제(7.9%), 세포치료제(1.3%) 순이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은 32억1천659만달러였으며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수출실적이 28억104만달러로 87.1%를 차지했다. 바이오의약품 무역수지는 9억1천692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최근 5년 새 가장 많았다.

 국가별 수출은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유럽시장 수출 허브 역할을 하는 헝가리가 436% 급증한 12억3천346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6억867만 달러), 튀르키예(4억3천206만달러), 브라질(1억4천404만달러) 순이었다.

 작년 의약외품 시장규모는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한 방역용품(마스크·외용소독제) 시장규모 감소로 1조7천544억원으로 전년(1조8천313억원)보다 소폭 줄었다.

 의약외품 수입실적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1억9천254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출실적은 23.6% 늘어난 8천206만달러를 나타냈다.

 의약외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적용이 의무화된 업종의 생산실적은 4천846억원으로 6.6%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박카스디액'과 '박카스에프액'이 전년에 이어 생산실적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3위 '까스활액', 4위 '영진구론산오리지날액', 5위 '메디안치석오리지널치약'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