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9일 조간)

▲ 경향신문 = 환경부, 국책기관 검토 의견 묵살 넘어 은폐·왜곡하다니

강제동원 해법 한 달 만에 미 국빈 방문하는 윤 대통령

친윤 김기현' 체제 닻올린 여당, '여의도출장소' 되지 말아야

▲ 국민일보 = 경찰학교에서 집단 괴롭힘 있었다니…진상 밝혀 엄단하라

윤 대통령 美 국빈 방문, 북핵·반도체 문제에 성과 내기를

김기현 신임 대표, 정치 복원과 당내 통합에 힘 쏟아야

▲ 서울신문 = '윤심'으로 뭉친 국민의힘, 민심의 바다로 나가라

70년 한미동맹 격상 기대되는 尹 미국 국빈 방문

KT 대표 인선, 자율성과 책임성 모두 잡아야

▲ 세계일보 = 또 도진 민주당의 친일 몰이, 李 사법리스크 물타기 아닌가

내달 바이든 만나는 尹, 북핵·반도체 대응 반드시 성과내길

김기현 대표 선출 계기로 국민의힘 새롭게 출발해야

▲ 아시아투데이 = 징용 해법 제시 후 가속화되는 한·미·일 협력

국민의힘 새 지도부 선출, 당정융합 이뤘다

▲ 조선일보 = 반도체법 발목 잡던 野 '적극 지원' 선회, 경제만은 협치를

14세 여중생이 하루 만에 필로폰 사서 투약할 수 있다니

연·포·탕' 약속 김기현 與대표, 앞으로 1년이 윤석열 정부 成敗 가를 것

▲ 중앙일보 = 12년 만의 대통령 국빈 방미…북핵 억지 장치 보강이 최우선

국민의힘 김기현호 출범…여당다운 여당으로 거듭나야

▲ 한겨레 = 강제동원 '봉합' 뒤 방미 윤 대통령, 일방적 외교 우려

피해자를 걸림돌 취급하고 "세계 평화", 말이 되는가

'윤심' 업고 당선된 김기현 대표, '출장소' 우려 불식해야

▲ 한국일보 = 정부·여당, KT 흔들기 이제 그만 멈춰라

징용해법 뒤 방일, 국빈 방미…의구심 지울 성과 내야

친윤 지도부 들어선 여당, 당정관계도 재정립하길

▲ 대한경제 = 한·미 정상회담, 현안해결 위한 실용외교 펼쳐야

토목·건축과 교수들이 제자를 위하는 길은?

▲ 디지털타임스 = 이제야 반도체 살리기 나선 野…다른 민생법안도 협치하라

새 지도부 국힘, 정치가 짐이 아닌 성장연료 되도록 거듭나야

▲ 매일경제 = "징용재단 기부땐 친일기업 낙인" 민주당의 폭력적 반일몰이

尹대통령 내달 미국 방문, 반도체 보조금 독소조항도 해소하길

"똘똘 뭉치자"는 김기현 새 대표, 경선 후유증부터 털어내야

▲ 브릿지경제 = 미국 반도체법 앞 '진퇴양난' 지켜만 볼 텐가

▲ 서울경제 = 한미 정상, '행동하는 동맹' 진화 위해 경제·안보 협력 격상시켜라

與 새 대표, '尹心' 갈등 씻고 노동·연금·교육 개혁 매진해야

반도체 경쟁국에 밀리지 않게 세액공제 상향 입법 서둘러라

▲ 이데일리 = 멀어진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 외부요인 탓만 아니다

김기현 체제 국민의힘, 경제회생·국정개혁 앞장서야

▲ 이투데이 = 빅스텝 예고한 파월…韓銀 물가 책무 무겁다

▲ 전자신문 = 면세 사업권 입찰 '차이나 머니' 우려

사이버보안 고성장세 이어가야

▲ 파이낸셜뉴스 = 한미 정상회담서 반도체 등 불이익 반드시 풀어야

金 신임 여당 대표, 민생 위한 혁신 정치 보여주길

▲ 한국경제 = 野 "징용재단 기부하면 친일기업"…이렇게 치졸한 협박도 있나

국민의힘 대표에 김기현…국정 뒷받침 제대로 하는 것이 여당의 본분

尹대통령 국빈 초대한 바이든, '행동하는 동맹'의 진정성 보여줘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