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진단 늦으면 실명 위험"…녹내장학회, 대국민 캠페인

  한국녹내장학회는 세계녹내장주간(3월 12∼18일)을 맞아 녹내장의 조기 검진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국민 캠페인을 벌인다고 10일 밝혔다.

  학회에 따르면 녹내장은 안압 상승이나 혈액 순환 장애 등에 의한 시신경 손상으로 시야가 좁아져 결국 실명에 이르는 질환이다.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의 기저질환을 앓는 사람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어 말기 녹내장 단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녹내장 발병률이 높아지는 40세 이상 또는 40세 이전이라도 당뇨병이나 고혈압 같은 만성 질환, 고도근시, 녹내장 가족력 등의 고위험 요인을 갖고 있다면 연 1회 안과 정기검진을 통해 녹내장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게 바람직하다.

 학회는 캠페인 기간 녹내장 전문의가 있는 전국 병·의원 안과에 포스터와 안내문을 비치하고, 13일 오전 10시에는 학회 유튜브 채널(https://bit.ly/3ZCOWuL)을 통해 '녹내장 바로알기' 강연회를 생중계로 진행한다.

 또 남산서울타워, 서울시청, 광안대교, 구리타워 등 주요 도시의 랜드마크 시설에서 녹내장을 상징하는 녹색등을 일제히 밝히는 점등 행사도 개최한다.

 김찬윤 한국녹내장학회 회장(세브란스병원 안과)은 "녹내장은 40대 미만 젊은 연령대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조기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녹내장 조기 진단 활성화를 위해 계속해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트레스 많으면 냉장고 사용↑"…사물인터넷으로 측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연구팀이 가정 내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를 정밀 추적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국내 1인 가구가 800만세대를 넘어서며 1인 가구의 고립감과 정신 건강 관리 문제가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반 정신건강 관리 방식은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누락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일상 활동을 지속해 측정하는 가정 내 IoT 센서에 주목했다. 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가전제품 등 생활 속 사물 사이의 정보를 센서와 통신기기로 서로 연결해 제어·관리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청년층 1인 가구 20세대를 대상으로 가전제품과 수면매트, 움직임 센서 등을 설치해 IoT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4주간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스마트폰·웨어러블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IoT 데이터를 함께 활용할 때 정신건강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관찰 결과 수면 시간 감소는 우울·불안·스트레스 수준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온도 상승도 불안·우울과 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