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세 이하 '청소년 부모' 80% "양육비 부담"…월소득, 평균의 68% 수준

여가부,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자 402명 조사
월 평균 소득 296만원…취업자 절반은 비정규직

 아이를 키우고 있는 만 24세 이하 '청소년 부모'의 80%는 양육비 부담이 크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월 평균 소득은 296만원으로 전체 가구소득 평균의 약 68% 수준에 그쳤으며, 취업자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이었다.

 여성가족부는 3일 이런 내용 등이 담긴 '청소년 부모 현황 및 아동양육비 지원 실증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 부모란 청소년복지 지원법에 따라 부와 모 모두가 만 24세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여성가족부는 저소득(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청소년 부모 가구에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의 양육비를 지원하고 있는데, 지난해 7월 청소년 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시범사업이 시행된 이후 사업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범사업 대상자 402명을 설문조사했다.

 ◇ 임신 당시 아빠는 아르바이트·엄마는 무직…10명 중 7명은 산후우울

 청소년 부모의 평균 연령은 22.5세로, 만 24세 27.4%, 만 23세 23.8% 순으로 많았다. 만 20세 이하인 청소년 부모 비중은 8.3%다.

 자녀 수는 평균 1.4명으로, 1명인 가구가 69.1%, 2명인 가구가 26.3%로 자녀수 1∼2명인 가구가 대다수이며, 자녀 평균 연령은 1.8세다.

 배우자의 임신 당시 청소년 아빠의 직업은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34.5%)이 가장 많았고, 본인의 임신 당시 청소년 엄마의 직업은 무직(30.7%)이 가장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96.1%가 자녀 출산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했지만, 자녀 임신을 내가 원해서 했다는 응답은 41.3%에 불과했다. 출산하지 않을 생각을 한 적이 있는 비율은 29.3%, 타인 양육을 생각한 적이 있는 비율은 9.5%로 나타났다.

 청소년 부모 10명 중 7명(68.3%)은 산후 우울감을 느꼈지만, 전문상담을 받은 적이 없는 사람은 10명 중 9명(90.1%)으로 대다수였다. 자녀수가 3명 이상인 경우, 첫 출산연령이 미성년 시기인 경우 산후 우울감을 느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 부모의 43.1%는 추가 자녀 계획이 없으며, 29.1%는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청소년 부모의 자녀 계획 시기는 '2년 이후'가 50.5%로 가장 많고, '1∼2년 사이'(26.0%), '1년 이내'(23.5%)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박정애 여가부 가족지원과장은 "양육, 학업, 취업 삼중고에 놓인 청소년부모가 추가 출산계획이 있다는 건 굉장히 희망적이며, 양육비 및 자녀 돌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수의 청소년 부모는 자녀양육비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녀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청소년 부모 79.7%는 자녀 양육비를 부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성별이 여성인 경우(82.1%), 자녀가 많을수록 그 비중이 높다.

 자녀가 혼자 있을 때 바라는 서비스 유형은 어린이집 야간보육 활성화(47.7%), 정부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긴급돌봄 활성화(38.3%), 식사제공서비스(4.4%), 자녀 등·하원 서비스(4.1%) 순이다.

 ◇ 평균부채액 4천900만원…청소년 엄마 16%는 임신으로 학업 중단

 월 평균 소득은 296만원이며, 이는 전체 가구소득 평균(435만8천원)의 약 68% 수준이다.

 항목별로 보면 근로·사업소득이 222만8천원, 정부지원금이 55만5천원, 가족의 용돈이 15만8천원 등이다.

 전체 가구의 56.7%는 저축을 하고 있으며, 44.9%는 부채가 있다.

 부채가 있는 집의 평균 부채액은 4천991만원이며, 응답자의 5.5%가 신용불량자 상태다.

 현재 취업상태라고 답한 청소년 부모는 57.8%이며, 이는 15∼24세 경제활동참가율(29.6%)의 두배에 달한다.

 그러나 고용형태는 비정규직이 절반 이상(54.7%)이었고, 정규직은 34.4%에 불과했다.

 직업훈련을 받은 청소년 부모는 11%에 불과했다.

' 아이를 돌봐줄 곳이 마땅치 않음'(44.9%), '훈련 비용 부담'(19.8%), '훈련 과정 동안 생활비를 벌 수 없음'(18.2%) 등이 훈련받을 당시 어려움으로 꼽혔다.

 여성 청소년 부모 15.8%는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학업중단 경험이 있었다.

 주요 사유는 '임신·출산 사실이 주변에 알려지는 것이 싫어서'(45.2%),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서'(33.1%)다. 학업중단 시기는 대학교 이상이 53.1%, 고등학교가 46.9%다.

 여가부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한 아동양육비 지원 시범사업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지만 절반 이상은 지원금이 두배 이상으로 늘어나야 한다고 답했다.

 아동양육비 지원이 '자녀양육에 도움이 된다'(96.5%), '지원 후 양육비 부담이 줄었다'(70%)는 응답이 대다수였다.

 지원 적정 단가로 '40만 원 이상'을 제시한 사람이 49.0%로 가장 많았고, 30만 원(35.8%)으로 늘려야 한다는 응답도 있었다. 현재 수준(20만 원)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6.1%에 불과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 프린팅으로 위암 모델 제작…"맞춤형 치료법 개발 가능"
국내 연구진이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위암과 암세포를 둘러싼 생체환경을 구현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김지수씨, 연세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와 의생명과학부 김정민 박사 공동 연구팀이 위암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Patient derived organoids, PDOs)를 활용해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는 환자로부터 유래된 조직 덩어리로 주로 조직이나 종양 세포를 사용해 만든 3차원 유기체를 가리킨다. 현재 기술로는 체외에서 위암의 병리학적 특징과 종양을 둘러싼 복잡한 환경을 모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와 3D(입체)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실제 위암 혈관 구조와 환경을 재현한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했다. 이 모델은 90% 이상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실제 위암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3D 바이오프린팅은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인공장기나 조직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환자별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해 약물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제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