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 필수 고순도 유기용매 친환경 분리 기술 개발

KAIST, 제올라이트 주형 이용 2차원 다공성 탄소 합성법 제시

 국내 연구진이 화학 및 제약산업에 필수인 고순도 유기용매를 친환경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 연구팀이 2차원 다공성 탄소 기반의 유기용매 정제용 초고성능 나노여과막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유기용매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혼합물을 이루는 물질 간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증류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용량의 혼합물을 끓여야 하는 만큼 막대한 에너지와 비용이 소모되고 가열 과정에서 고부가가치 생성물의 화학적 변성 위험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이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단순히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유기용매를 높은 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막 기술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차원 마이크로다공성 탄소 분리막을 이용한 유기용매 나노여과

 이어 극도로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 기공들이 벌집 구조로 빽빽하게 배열된 2차원 탄소 시트들을 적층시켜 얇은 두께의 분리막을 제조했다.

 이 분리막을 유기용매 나노여과에 적용한 결과, 탄소 시트의 기공보다 큰 용질은 효과적으로 걸러냄으로써 고순도의 유기용매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높은 기공 밀도 덕분에 기존 분리막들보다 비약적으로 높은 유기용매 투과도를 보여, 유기용매의 대량 정제에도 매우 적합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최민기 교수는 "극도로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 기공이 초고밀도로 존재하는 2차원 다공성 탄소의 합성 방법은 세계적으로 보고된 바 없던 새로운 개념"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탄소 물질은 분리막뿐만 아니라 배터리나 축전지 같은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 및 화학적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AIST 응용과학연구소 김채훈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 권위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지난 2월 10일 게재됐다.

고순도 유기용매 친환경 분리 기술 개발한 연구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 프린팅으로 위암 모델 제작…"맞춤형 치료법 개발 가능"
국내 연구진이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위암과 암세포를 둘러싼 생체환경을 구현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김지수씨, 연세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와 의생명과학부 김정민 박사 공동 연구팀이 위암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Patient derived organoids, PDOs)를 활용해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는 환자로부터 유래된 조직 덩어리로 주로 조직이나 종양 세포를 사용해 만든 3차원 유기체를 가리킨다. 현재 기술로는 체외에서 위암의 병리학적 특징과 종양을 둘러싼 복잡한 환경을 모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와 3D(입체)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실제 위암 혈관 구조와 환경을 재현한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했다. 이 모델은 90% 이상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실제 위암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3D 바이오프린팅은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를 사용해 인공장기나 조직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환자별 혈관화된 위암 모델을 제작해 약물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제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