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숙한 한약재로 바이러스 치료'…한의학연 잇단 효능 규명

할미꽃 뿌리·초두구·숙지황·치자 추출물서 항염 등 효과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연구진들이 우리 생활 주변에서 친숙한 한약 소재의 항바이러스·항염 효능을 잇달아 과학적으로 밝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14일 한의학연에 따르면 최근 한의약융합연구부 김태수 박사 연구팀은 할미꽃 뿌리인 한약재 백두옹의 알레르기 비염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할미꽃은 전통적으로 뿌리 부분을 약초로 사용하는데,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 것을 백두옹(白頭翁)이라 부른다.

 백두옹은 해독 효능이 있어 염증 완화, 지혈, 지사(止瀉·설사를 멈추게 함)약으로 사용됐다.

 연구팀이 백두옹 추출물을 알레르기 비염 동물 모델에 경구투여한 결과, 대표적인 알레르기 비염 증상인 코 문지르기, 재채기 횟수가 대조군보다 각각 최대 38%·35%씩 개선됐다.

 코 안(비강) 상피조직 두께도 최대 24% 감소했고, 코 점액을 생성하는 술잔세포 수도 최대 49% 감소했다.

할미꽃과 할미꽃 뿌리

 천연 색소로 활용되는 치자 열매는 해열·지혈·소염 등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 쓰인다.

연구팀은 노란 색소를 제거한 치자나무 추출물을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 피부에 발라 알레르기 개선 효능을 검증했다.

 그 결과,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증가했던 혈중 염증 관련 인자가 감소했고, 비장·림프절 조직의 알레르기·기생충 등 병원체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Th2 세포 활성이 대조군 대비 평균 49.1%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로고

 김태수 박사는 "친숙한 한약 소재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분석했다"며 "식물 추출물 연구를 통해 부작용이 적은 천연 치료제를 개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의학연에서는 한약재인 초두구의 추출물 '카다모닌'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하고, 한약재 열처리 온도·횟수·시간을 표준화해서 숙지황 약효를 증진하는 현대화 가공 기술을 개발하는 등 과학적 연구를 통한 항염·항바이러스 효능을 입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의학연 권선오 박사는 "초두구는 찬 기운 때문에 나타나는 가슴·배의 통증, 구토 등을 치료하는 용도로 활용된다"며 "초두구 추출 성분이 코로나19 예방·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한의학연 관계자는 "한의약의 감염병 치료 효능과 항염증·항바이러스 효능을 과학적으로 실증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며 "다양한 신·변종 감염병 예방·치료 한약 소재를 발굴해 과학화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