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 경향신문 = 주식 백지신탁 버티다 패소한 유병호, 즉시 이행하라

신당역 사건 1년, 달라진 것 없는 스토킹 공포

서울 전역에 웬 국가상징공간, '냉전 도시' 만들려는가

▲ 국민일보 = 선관위 채용 비리, 철저한 수사와 전면 외부 감사 필요하다

대북 제재 뒤흔들려는 푸틴, 韓 안보의 치명적 위협 됐다

▲ 서울신문 = 수사 미루고 재판 끌고…법치 농락도 심판해야

세계 평화 위협하는 김정은·푸틴의 추악한 거래

잇단 비극에 사적 보복까지, 교권 강화 서두르라

▲ 세계일보 = 철도·포스코 노조 파업 예고, 명분 없고 공감 얻기 어렵다

野 탄핵 압박에 국방장관 사의…정쟁에 안보는 뒷전인가

北에 "핵기술 이전", 韓엔 "우크라 무기지원 말라"는 러 이중성

▲ 아시아투데이 = 뉴스 플랫폼의 대대적 개혁을 통해 '가짜뉴스' 척결해야

▲ 조선일보 = "초대 대통령 기념관이 아직 없다니" 이름 없는 시민들 상식적 물음

직접 결재 뒤 "수고했다" 격려해놓고 '부지사가 몰래 했다'니

수산물 대신 "차라리 ×을 먹겠다"던 민주당의 횟집 회식

▲ 중앙일보 = 가상자산 전수조사에서 가족 뺀 의원들의 몰염치

위험한 무기 거래 우려, 김정은·푸틴의 '잘못된 만남'

▲ 한겨레 = 유병호 '주식 안 판다' 버티다 패소, 남 감사할 자격 있나

김의철 KBS 사장 해임, 잘못된 과거에서 뭘 배웠나

김정은 방러, 북-러 '위험한 무기 거래' 경계한다

▲ 한국일보 = 심상치 않은 부동산PF 연체율, 점검 또 점검해야

반복되는 KBS사장 해임 사태, 공영방송 갈등 증폭 우려

과도한 사적 제재, 우리 사회가 경계할 또 다른 문제

▲ 디지털타임스 = 민주당 책자 "경제 폭망"…원인 제공자가 '저주' 막말 할 수 있나

金·푸틴 무기 거래 의심…국제사회와 연대해 대가 치르게 해야

▲ 매일경제 = 수능 응시자 셋 중 한 명 n수생, '입시낭인' 사회적 비용 너무 크다

서울시 6만5000원 교통패스, 경기·인천으로 확대해야

지속 가능한 혁신동맹 '테크늄 얼라이언스' 제안한 세계지식포럼

▲ 브릿지경제 = '기업 세제' 전반, 경제 활성화 기준에서 재편해야

▲ 서울경제 = 선거 불공정 재발 막으려면 신속 재판과 엄중 처벌 필요하다

수세 몰린 북·러 '도발 카르텔'…핵 대응 역량 제고 서둘러야

기업 성장성·수익성 적신호, 투자·고용 확대 전방위 지원하라

▲ 이데일리 = 1심 구형에만 4년…사법 정의 뭉갠 '늑장 재판' 더 없어야

커지는 줄도산 경고음…기촉법 시한 연장, 미룰 일인가

▲ 이투데이 = '짜고 치는 고스톱' 채용…선관위, 이대로 둘 수 없다

▲ 전자신문 = 대기업, 한 번 더 뛰자

미디어·콘텐츠 발전 마중물 만들어야

▲ 한국경제 = 위험천만 北·러 무기 거래…핵전력 등 모든 대응 수단 강구해야

23㎞ 송전선 건설에 10년…이런 일 반복되면 K반도체 미래 없다

도전과 혁신·기업가정신 넘쳐나는 'KIW 2023'

▲ 대한경제 = 선거제 개편 오리무중…여야는 빨리 협상 끝내라

납품단가 연동제 선의의 피해자 생길까 걱정이다

▲ 파이낸셜뉴스 = 아동학대법 초당적 합의로 교사 눈물 닦아줘야

세계 뒤흔드는 북·러의 위험한 무기 거래 안 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