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치아 건강마저 '빈부격차'…저소득층이 충치 2.5배

저소측층 아동 29% "치과 진료 필요했지만, 진료 못 받아"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 실태조사…"치과 건강보험 확대 등 불평등 완화책 필요"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의 아동이 고소득 가구 아동보다 치료 안 된 충치 개수가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부격차가 아동의 '구강 건강 격차'로 고스란히 이어진 셈이다.

 3일 질병관리청의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12세 아동 1만8천671명 중 한 번이라도 영구치 우식(충치)을 경험한 아동은 58.4%, 현재 치료 안 된 충치가 있는 아동은 6.9%였다.

 치료 안 된 충치 개수는 1인당 평균 0.12개였는데, 소득수준에 따라 뚜렷한 격차가 있었다.

 소득수준(자기기입 설문 기준)이 '상'인 가구의 아동은 치료 안 된 영구치 충치를 1인당 평균 0.09개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충치가 있는 아동의 비율도 소득수준 '하'에서 12.4%로, '상' 그룹의 5.6%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치료가 필요한 영구치가 1개 이상 있는 아동의 비율은 소득수준 '상' 5.5%, '하' 12.3%로 2배 넘게 차이가 났다.

 12세 아동의 치과의료 이용실태에서도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가 뚜렷했다.

 최근 1년간 치과 진료를 받은 아동의 비율은 소득 '상'이 65.2%, '중' 58.1%, '하' 52.4%였다.

 반대로 '지난 1년간 치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나 진료를 받지 못한 적 있느냐'는 질문엔 소득수준 '하' 아동의 '그렇다'라는 응답률이 29.3%로 가장 높았고, '중' 18.5%, '상' 15.3%로 확연히 떨어졌다.

 치과에 가지 못한 이유가 경제적 이유 때문이라는 응답률은 '하' 그룹이 9.1%로, '상' 그룹(0.9%)의 10배였다.

 소득수준이 낮은 아동일수록 칫솔질 횟수가 적고, 충치를 유발하는 사탕, 캐러멜 등의 우식성 간식은 더 자주 섭취하고 있었다.

 질병청은 보고서에서 "소득수준을 '하'로 응답한 아동은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 행동에 소극적이며,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치과의사단체와 시민단체 등으로 이뤄진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한 치아건강 시민연대'는 "대부분 조사지표에서 아동의 구강건강 불평등이 나타나 충격적"이라며 불평등 완화를 위한 아동치과 주치의 사업, 치과 진료 건강보험 적용 확대 등을 촉구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