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학자금 못 갚는 청년 대출자 급증, 해답은 일자리다

미국서 상계관세까지 맞은 값싼 전기료, 인상 로드맵 짜야

윤 대통령, '부적격' 김행·신원식·유인촌 임명 강행할 텐가

▲ 국민일보 = 유류세 인하 조치, 내년 총선까지 계속 연장할 건가

비밀투표인데 '가결표 던졌냐'며 징계하자는 민주당

▲ 서울신문 = 갖가지 비리에 솜방망이 징계, '판사 특권' 온당한가

총선 전에 선거사범 공소시효부터 대폭 늘려라

소수 강경파에 휘둘리는 美 정치, 남 일 아니다

▲ 세계일보 = 유인촌·김행 후보자 의혹 청문회 해명, 국민 눈높이에 맞나

다시 들썩이는 소비자물가…추가 금리 인상 검토할 때

총선 앞두고 여론조작·가짜뉴스 대책 마련 시급하다

▲ 아시아투데이 = 3高 리스크, 가계·기업이 먼저 철저한 부채관리를

사법부 리더십 공백 장기화, 삼권분립에 반한다

▲ 조선일보 = 교통사고를 反美로 둔갑시킨 사람들, 지금도 괴담 선동

한 번 잘못된 에너지 정책, 온 국민을 긴 고통 속으로

대선 전날 475만명에게 살포된 가짜 뉴스, 막을 방법 찾아야

▲ 중앙일보 = 미국인 50%만 "북 침공 시 한국 방어"…대미 외교 다각화를

저성장 고착화와 재도약의 갈림길…출구는 규제개혁뿐

▲ 한겨레 = 빗나간 전망에 잘못된 정책, 경제 불확실성이 불안으로

청문회서 의혹 밝힌다더니, 후안무치로 일관한 김행

눈앞의 공백보다 제대로 된 대법원장이 더 중요하다

▲ 한국일보 = 똑같이 만점 맞아도 23점 차이…과목 선택이 당락 갈라서야

한국 반도체 추격 위해 농지 규제까지 푼 일본

유인촌, 문화예술계 '이념전쟁' 안 만들 자신 있나

▲ 대한경제 = 유일한 성장 활로 '수출', '킬러규제' 혁파로 뚫어야

고금리 시대 장기화, 건설업체들 유동성 관리에 만전을…

▲ 디지털타임스 = 고물가에 '窮民' 되는 서민…유통구조라도 혁신해 민생 살려야

李, 대선 전날 '가짜뉴스' 475만건 발송…국민 기만 사과해야

▲ 매일경제 = 국회 인구특위 반년 만에 개최, 저출산 대응 빈말이었나

LG엔솔, 日기업 제치고 도요타에 배터리 공급…혁신의 힘이다

경제성 분석 끝난 양평고속道, 논란 종지부 찍고 착공 서둘러야

▲ 브릿지경제 = 시장에 확실한 믿음 줘야 9·26 대책 살린다

▲ 서울경제 = 日 그린벨트 풀어 반도체 공장, 韓 "규제 해소" 공수표 반복

총선 앞 '드루킹 사건' 재발 방지책 꼼꼼히 마련해 실천해야

건보 재정 위협하는 과잉 의료, 제도 수술 서둘러라

▲ 이데일리 = 다시 켜진 인플레 경고등, 물가잡기 총력전 나서야

나랏돈까지 축낸 가짜뉴스, 민심왜곡 이대로 둘 건가

▲ 이투데이 = '규제 혁신' 외치는 기업 목소리 간과 말아야

▲ 전자신문 = 제2 레고랜드 사태 막아야

통신요금 절감, 이용자도 노력해야

▲ 파이낸셜뉴스 = 97개 '킬러규제' 법안, 21대 국회에서 꼭 처리해야

금융기관 보이스피싱 배상에 합리적 근거는 필수

▲ 한국경제 = 자국 우선 '트럼프 트라우마'의 엄습…안보·경제 후폭풍 대비를

정치 행위로밖에 볼 수 없는 어느 감사위원의 편파 보은 감사

독일은 메르켈 측근도 반성, 韓 탈원전 주역들은 꿀 먹은 벙어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