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심뇌혈관센터 1주기 평가서 13개 센터 모두 재지정

제주·강원대 권역심뇌혈관센터는 '육성형' 지정 후 추가 지원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을 다루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이하 권역센터) 1주기 평가 결과 13개 센터 모두 치료 역량이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됐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어 1주기 평가 대상인 13개 권역센터에 대한 재지정 여부를 심의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모두 재지정하기로 의결했다.

 현재 권역센터는 14개지만, 올해 새롭게 연 충남권역센터인 순천향대 천안병원은 1주기 평가에서 제외돼 평가 대상은 13개 센터다.

 13개 권역센터 모두 1주기 평가 중점 대상인 '치료 역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90분 내 스텐트 등으로 관상동맥을 넓히는 '관상동맥 중재술'(PCI) 실시율 등 운영 지표도 모두 충족했다.

 다만 강원권역센터인 강원대학교병원과 제주권역센터인 제주대병원은 지정 요건 중에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받아야 하는 일반기준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복지부는 지역적 상황을 고려해 강원대병원과 제주대병원을 '육성형 권역센터'로 지정하고 시범 사업 참여 독려, 전공의 배정 등 추가 지원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두 병원의 개선 노력도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심뇌혈관질환은 적기에 치료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지역적 요건을 고려해 권역센터 지정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이날 심뇌혈관질환의 예방·진단·치료·재활 등 전(全)주기 정책의 국가 표준을 제시하기 위한 '중앙심뇌혈관관리센터' 운영 계획도 심의했다.

 복지부는 올해 4분기 공모를 거쳐 기준에 맞는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중앙심뇌혈관센터로 선정할 계획이다.

 향후 중앙심뇌혈관센터를 중심으로 중앙과 권역, 지역으로 이어지는 의료 체계를 완비할 방침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