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국회서 먼저 나온 연금 모수개혁안, 공론화 속도 낼 전기로

국방장관 보좌관도 개입한 해병대 수사, 외압이 분명해졌다

군사채널 복원한 미·중 정상, 한반도 신냉전에도 훈풍 있길

▲ 국민일보 = 총선용 압박에 역전된 신용대출 금리…후폭풍 걱정된다

도 넘은 여야의 예산안 대치…노골적 정략화 지나치다

▲ 서울신문 = 전직 고위경찰 죽음에 얽힌 토착비리 철저 규명을

킬러문항 뺀 수능, 공교육 정상화 가능성 보여 줬다

미중 해빙무드 속 국익 극대화 전략 세워야

▲ 세계일보 = 김기현, 인요한 직격…'윤심' 논란이 혁신에 무슨 도움 되나

구체적 수치 담긴 연금개혁안 제출, 국회 단일안 합의해야

'갈등 해소' 대화 진전 美·中…정세 변화에 정교한 대처를

▲ 아시아투데이 = 킬러문항 뺀 수능, 공교육 정상화 마중물 되길

한·미·일 협력 중요성 잘 보여준 미·중 회담

▲ 조선일보 = 고금리 돈벼락 은행들, '횡재세' 불식할 획기적 상생안 찾길

도심을 '혐오 캠핑장' 만든 민노총의 일주일 노숙 집회

희생 거부 '친윤'들, 대통령 주변 모인 이유도 결국 사익

▲ 중앙일보 = 치안감 죽음까지 이어진 경찰 비리 의혹 철저히 규명해야

사상 최대 '세수 펑크' 속 포퓰리즘 예산 증액이 온당한가

▲ 한겨레 = 물증까지 드러난 국방부의 '채 상병 사건' 축소 지시

장모 유죄 확정, 윤 대통령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

미·중 '전술적 타협', 한국 외교 전략 재점검해야

▲ 한국일보 = 무책임한 정책 뒤집기에…종이 빨대 재고 2억개

치안감 죽음까지 부른 경찰 브로커…비리 발본색원해야

전화 걸면 받기로 한 미중 정상, 우리도 유연하게

▲ 대한경제 = '건폭' 뿌리 뽑아야 하는 이유 되새겨준 법원

미중 '해빙무드', 변화 불가피한 우리 대중국 외교

▲ 디지털타임스 = '용량 장난질' 슈링크플레이션, 처벌 강화로 꼼수인상 저지하라

ESG 데이터에 쏠린 열기…구체적 방법론으로 안착시켜야

▲ 매일경제 = 野-대구시 달빛고속철 추진 합의, 예타 면제 남발 안돼

"킬러문항 배제" 첫 수능…'N수 공화국' 숙제 남겼다

美·中 충돌방지에 공감…韓도 정교한 中디리스킹 전략을

▲ 브릿지경제 = 서울·대형사까지 나빠진 건설업계, 해법 없나

▲ 서울경제 = 의사 1명당 진료 환자 OECD 최다, 의대 정원 늘려야 하는 이유다

지금은 '더 받는' 방안 아니라 '더 내는' 연금 개혁에 주력해야

원전·R&D 예산도 입맛대로 재단하는 巨野의 폭주

▲ 이데일리 = 역대급 세수 부족…대주주 양도세 완화, 명분 옳은가

반기업법 밀어붙인 민주, 엉터리 선거제 왜 안바꾸나

▲ 이투데이 = '슈링크'에 '스킴'…'빵 서기관'이 부른 혼란 아닌가

▲ 전자신문 = 방송 불법 송출, 징벌적 손해배상을

미-중 갈등 완화 후속대책 세워야

▲ 파이낸셜뉴스 = 자문위 연금개혁안 제시, 공론화 서둘러 결론내야

미중 화해 무드, 한중 경제협력 회복 전기 되길

▲ 한국경제 = 민노총 '1주일 노숙 집회' 허용한 법원, 한 번이라도 현장 가봤나

"AI가 일자리 341만 개 대체"…규제혁파로 서비스산업 키워야

1인 사장, 알바, 백수를 보는 시선…이제 바꿀 때 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