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치료제 장기 복용, 심혈관 질환 위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를 장기간 복용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HD는 유달리 주의력이 떨어지고 산만하며 행동이 지나치게 활발하고 충동 조절과 행동 통제가 안 되는 일종의 정신 장애로, 소아 또는 청소년에게 흔히 발생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과대학 의역학·생물통계학과의 장러(Zhang Le) 교수 연구팀이 2007~20020년 사이에 ADHD 진단을 받고 ADHD 치료제를 처방받은 27만8천27명(6~64세)의 의료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 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1만388명은 심부전, 동맥질환, 부정맥, 고혈압 진단을 받았다.

 연구팀은 두 그룹을 평균 4.1년 추적했다.

 전체적으로 ADHD 약 복용 기간이 1년 길어질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은 4%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 위험은 ADHD 복용 기간에 따라 1∼2년은 9%, 2∼3년은 15%, 3∼5년은 27%, 5년 이상은 23%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ADHD 치료제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큰 요인은 고혈압과 동맥질환이었다.

 복용 기간이 3∼5년이면 고혈압 위험이 72%, 5년 이상이면 80% 높아졌다.

 동맥질환 위험은 복용 기간이 3~5년이면 65%, 5년 이상이면 49% 높아졌다.

 ADHD 치료제는 부정맥, 심부전, 정맥혈전 색전증, 뇌혈관 질환과는 별로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벼운 부정맥, 즉 무증상 부정맥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들이 복용한 ADHD 치료에는 각성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암페타민, 덱스암페타민, 리스덱스암페타민과 비각성제인 아토목세틴, 구안파신이 포함됐다.

 메틸페니데이트 3~5년 복용자는 비복용자보다 심혈관 질환 위험이 20%, 5년 이상 복용자는 19% 높았다.

 리스덱스암페타민 2~3년 복용자는 심혈관 질환 위험이 23%, 3년 이상 복용자는 17%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임상의들은 ADHD 치료제 처방 기간 내내 복용자가 심혈관 질환 징후나 증상을 보이는지 주기적으로 끊임없이 살펴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 정신의학'(JAMA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