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0세 이상 9%가 당뇨병 진단…용산구 치료율 최저

질병관리청, 지자체별 당뇨병 진단 경험과 치료율 현황 발표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 운동, 금연·금주로 당뇨병 예방"

 지난해 30세 이상 인구의 9%가량이 당뇨병을 진단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당뇨병 진단을 받은 이들 중 치료를 받는 비율은 서울 용산구가 가장 낮았다.

 질병관리청은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매년 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지방자치단체별 당뇨병 진단 경험률 현황을 4일 공개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의사에게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30세 이상 인구 비율이다. 이번 조사는 면접을 통한 설문으로 이뤄져 과소 혹은 과다 추계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2017년 8.1%에서 2018년 7.9%로 한 차례 감소했을 뿐 최근 10년간 꾸준히 상승 추세였다.

 당뇨병 진단 경험이 있는 이들의 전체 치료율은 지난해 91.8%였다. 이 비율은 2018년부터 90%를 웃돌아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제공]

 2020∼2022년 평균 시군구별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서울 용산구(59.5%)에서 가장 낮았다.

 그다음으로 대전 대덕구(66.4%) 서울 동대문구(68.7%) 등의 순으로 낮았다.

 치료율이 낮은 시군구 10곳 중 동대문구(14.4명), 충북 증평군(13.8명), 용산구(12.3명), 대전 서구(11.8명) 등 4곳은 10만명당 당뇨병 사망률이 전국 평균(9.4명)보다 높았다.

 치료율은 부산 강서구(96.7%)가 가장 높았고, 인천 남동구·경북 성주군(각 96.6%), 경남 거창군(96.4%) 등이 뒤를 이었다.

 제주의 경우 2021년만 해도 치료율 96.6%로 전체 17개 시도 중 1위였지만, 지난해에는 16위(88.2%)로 내려앉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당뇨병은 작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원인 8위로, 조기사망과 장애에 따른 질병 부담이 높은 질환"이라며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주민의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 적정 체중·허리둘레 유지 ▲ 규칙적인 운동 ▲ 균형 잡힌 식단 ▲ 금연·금주 등 좋은 생활 습관 유지 ▲ 정기적 검진 등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활습관병은 의사가 못고친다"…40년간 감기 안걸린 국민의사
인생의 95%는 건강으로 결정된다. 권력과 명예, 부(富)는 부차적 요소다. 인간에게 생명은 제일 중요한 자산인데, 이 생명의 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건강이기 때문이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다. 타고난 것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인터뷰이들은 소식(小食)하고, 운동하고, 술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담배를 끊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터뷰이들은 이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 대부분은 흡연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이 건강 비결을 모르지는 않는다. 다만 실천을 못 하기에 문제가 생긴다. 실천력도 타고나는 측면이 강하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생활에서의 보람도 건강에 중요하다고 인터뷰이들은 전한다 적지 않은 사람이 정년퇴직 후에 건강을 잃거나 빨리 노화된다. 이는 보람, 즉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턱대고 부지런하다고 해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 사고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인터뷰이들은 대체로 이런 사고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전략적 사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노력도, 전략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