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2일 조간)

▲ 경향신문 = 공정경쟁 흔드는 재벌 내부거래, 1년 새 40조나 늘었다니

필수의료 붕괴 직전, 의협 '의대 정원 파업' 명분 없다

사법 독립과 영장 제어, 조희대 대법원 역사적 짐 무겁다

▲ 국민일보 = 건설사의 층간소음 방지 책임, 분양가에 전가하는 일 없어야

선거제 개편·선거구 획정도 없이 출발한 총선

▲ 서울신문 = 치안 수요 큰 연말에 경찰 '초과근무 자제령'이라니

직무유기 국회, 이들 법안만은 반드시 처리하라

조 대법원장, 사법부 정상화 속도 높이길

▲ 세계일보 = '실거주 의무 폐지' 불투명, 분상제 주택 시장 혼란 해소하라

혁신안 거부한 김기현 대표, 아직도 상황 인식이 안 되나

중구난방 제3신당, 가치·비전 없으면 국민 선택 못 받는다

▲ 아시아투데이 = 의협, 자발적으로 의대 증원 요청한 美·日 보라

EU AI 규제법 제정, 한국도 선제 대응 나서야

▲ 조선일보 = 민주당 당략에 예비후보 등록일에도 선거 제도 다 오리무중

"혁신위 50% 성공" 그 말 믿을 국민 얼마나 될까

'김명수 흑역사' 바로잡고 사법 신뢰 회복, 조 대법원장의 책무

▲ 중앙일보 = 재판 지연 심각, 여야 정쟁 말고 판사 정원부터 늘려라

빚에 허덕이는 '나라의 미래' 20대

▲ 한겨레 = '재일동포 차별 취재 조총련 접촉' 색출 나선 통일부

문 닫은 혁신위, 국민의힘 그동안 무슨 혁신을 했나

'김건희 명품백 의혹' 못 본 체하는 검찰, 이게 공정인가

▲ 한국일보 = 앱 못 쓰면 진료 밀리는 노인들, 대책 강구해야

만시지탄 공급망위원회, '싼 맛' 유혹 떨치고 길게 보길

'총선 룰 없는데 선수부터 입장'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 글로벌이코노믹 = 예전과 180도 달라진 중국-EU 관계

인도 증시 한국 투자 과열 주의보

▲ 디지털타임스 = 고금리 리볼빙 권하는 카드사…방치했다간 신불자 양산된다

與, 혁신위 주류 희생 제안에 말로만 '수용'…행동으로 보여야

▲ 매일경제 = 과장광고 학원에 솜방망이 과징금, 이래서 사교육 과열 막겠나

주목받는 '제3지대'…거대 양당은 위기의식 가져야

민주당 청년공약 1호 '반값 기숙사' 미래세대 빚만 늘릴 것

▲ 브릿지경제 = 공급망 교란 사태에 전방위적 대응해야

▲ 서울경제 = 의협, '총파업' 운운 말고 필수·지방의료 붕괴 해법 내놓아라

美·네덜란드 포함 '반도체 동맹' 강화해 윈윈 구조 만들어야

총선 D-120, 與 대혁신 외면하면 총체적 위기 벗어날 수 없다

▲ 이데일리 = 총파업 찬반투표 강행한 의협…국민은 공감 못 한다

깜깜이 선거구, 춤추는 선거법…이러고 선거 치를 건가

▲ 이투데이 = 20대 주담대 연체율의 고공비행, 정상인가

▲ 전자신문 = 'K제로트러스트' 모델 서두르자

'요소 대란' 재발 막아야 한다

▲ 한국경제 = 은행권 이자 캐시백…형평성 훼손·도덕적 해이 우려스럽다

발목 잡힌 규제 혁파 법안, 정략으로 흥정해선 안돼

본격 열리는 유전자 가위 시장…원천기술 갖고도 규제에 막힌 한국

▲ 대한경제 = 민생 내팽개친 소모적 정쟁, 이러고도 표 달라 할 수 있나

층간소음 저감 규제 필요하지만 속도가 너무 빠르다

▲ 파이낸셜뉴스 = 환자는 발동동 구르는데 무슨 명분으로 파업하나

유사시 대비해 빈틈 없는 공급망 대책 세우라

▲ 경북신문 = 與, 총선 열세 여론조사에 시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