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송고시간2023-12-13 08:00

 

  

 

▲ 경향신문 = 재일 조선학교와의 문화교류까지 막겠다는 통일부의 역주행

장제원 불출마 선언, '용산 출장소' 극복이 쇄신 본질이다

민간에 개발권 넘긴 공공주택, 분양가 상승·특혜 없어야

▲ 국민일보 = '타다 금지법' 만든 정치, 이젠 '직방 금지법' 만들려 하나

장제원 불출마로 쇄신 바람 더 세져야…野는 혁신 안 하나

▲ 서울신문 = 타다 사태 겪고도 '직방금지법' 추진하는 野

LH 독점 해체, 건설 카르텔 혁파 첫걸음 되길

친윤 핵심 불출마 선언, 한 명으로 끝나선 안 된다

▲ 세계일보 = 한국형 3축체계 구축 강화, 對北 안보불안 해소 계기 되길

'타다 반성문' 쓴 지 언제라고 또 '직방 혁신' 싹 자르려 하나

"나를 밟고 가라"는 장제원…다른 '윤핵관'도 동참해야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공인중개사 표몰이' 중단해야

당이 어려울 때 자신을 희생한 장제원 의원

▲ 조선일보 = '친푸틴' 반성한 獨 사민당, '친김정은' 민주당은?

이제는 익숙해지기까지 하는 '운동권 내로남불'

장제원 불출마, 與 의원들 나라 위한 길 숙고하길

▲ 중앙일보 = 총선용 '직방금지법' 우려, 또 혁신 죽이기인가

'장제원 불출마' 정도로 국민이 여권 쇄신 체감하겠나

▲ 한겨레 = '윤핵관' 장제원 불출마, 당정 변화 없이는 백방이 무효

심각한 저출생에도 이젠 무덤덤, 우리 사회 미래 있나

'채 상병 사건' 부하 떠넘기고 생존 장병 모독한 사단장

▲ 한국일보 = 기후 몸살에도…'화석연료 퇴출' 빠진 COP28 초안

"또 LH 혁신이냐"는 불신…실행 의지가 관건

與 장제원 불출마, 꺼져 가는 혁신 불씨 돼야

▲ 글로벌이코노믹 = 채권수익률 역전 속 연착륙 신호

저유가 추세 고물가 해결할 기회다

▲ 디지털타임스 = 공공주택 'LH 독점' 혁파…품질·분양가 두 마리 토끼 잡아야

장제원 이어 김기현도 결단해야 국힘 회생 불씨 살아난다

▲ 매일경제 = 장제원 불출마 선언…국민의힘 인적쇄신 계속되길

아파트 층간소음 해법, 삶의 질 최우선해야

선거제도 확정 미루는 여야, 정치신인 막는 기득권 짬짜미 아닌가

▲ 브릿지경제 = CCM 인증, '소비자 중심' 기업이 인정받아야

▲ 서울경제 = 부동산 PF 연체율 2배, 선제 대응으로 시스템 리스크 막아라

"1∼2%대 저성장 장기화"…규제·세제 족쇄 제거해 재도약해야

'친윤' 장제원 불출마…타이밍 놓치지 말고 黨政大 전면 쇄신해야

▲ 이데일리 = 신혼부부 절반이 딩크족, 육아환경 개선 미룰 수 없다

총선 코앞 직방금지법…巨野, 혁신의 싹 또 자를 건가

▲ 이투데이 = 폴란드 정세 변화, K-방산 피해 없게 정밀 대응을

▲ 전자신문 = 직방금지법 신중해야 한다

C-ITS 상용화는 앞서가자

▲ 한국경제 = 기초연금 40만원 확정…지급 대상 축소 없으면 '현금 퍼주기'

장제원 불출마…與, 인적 쇄신 넘어 정치 혁신으로 나아가야

정권 바뀌자 확 줄어든 '파업손실', 이래서 원칙 대응이 중요하다

▲ 대한경제 = 장제원 불출마 선언, 여야 세대교체 신호탄 돼야 한다

LH 혁신안,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이행해야

▲ 파이낸셜뉴스 = 공공주택 건설 민간 개방, 분양가 상승은 경계해야

한·네덜란드 '반도체 동맹' 최강국 도약 발판되길

▲ 경북신문 = 후보자들이 선거법을 지켜야 하는 이유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