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근로의욕 저하 없다는 서울시 '안심소득 실험' 주목한다

공룡 플랫폼 규제법, 21대 국회서 매듭지으라

늑장 타결한 새해 예산안, 약자 우선해 집행 속도 내길

▲ 국민일보 = 서울시, 아이들한테 긴요한 야간약국 사업 복원하길

곳곳서 새는 국고보조금, '이권 카르텔' 부인 못 하게 됐다

예산안 오늘 지각 처리… 세부 조정 투명하게 밝혀야

▲ 서울신문 = 거대 플랫폼 사전 규제, 시장 활력으로 이어져야

물러나야 할 野 운동권 세력의 주도권 싸움 추하다

민주, '돈봉투 의혹' 의원들 어물쩍 공천하려 하나

▲ 세계일보 = 7조원 또 남은 지방교육재정, 교부금법 수술 더 미뤄선 안 돼

독소조항 논란 '김건희 특검법', 중립성 보장 장치 마련해야

내년 예산 657조원 합의, 巨野 횡포에 휘둘린 정부 예산안

▲ 아시아투데이 = PF發 금융위기, 옥석가리기와 지원책 병행해야

여야 내년예산 처리 극적 합의, 다행이다

▲ 조선일보 = 조태열 외교 장관 후보자의 "한중 관계도 중요" 인식

대통령 언급 "경제 세계 2위" 실감할 국민 얼마나 있겠나

'김건희 특검'은 여야 합의 추천하고 총선 직후 실시로

▲ 중앙일보 = 148년 만에 몰락한 도시바의 교훈

한동훈 장관의 부적절한 언행, 비대위원장 잘할 수 있을까

▲ 한겨레 =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도입 시동, 내실 있게 준비해야

주식양도세 완화, 총선 외엔 아무것도 안 보이나

한동훈, 비대위원장 발표 때까지 장관직 유지할 텐가

▲ 한국일보 = 플랫폼규제법, 독점 횡포 막아야 혁신도 산다

"한중, 한미 못지않게 중요" 외교장관 후보 인식 실천돼야

지금껏 수사 뭉개다… '총선 후 김건희 특검' 띄우는 한동훈

▲ 글로벌이코노믹 = 글로벌 물류 수에즈 운하 리스크

일본 마이너스 금리 그대로 간다

▲ 대한경제 = 최상목 경제팀, 구조개혁 속도감 있게 지속 추진해야

주거사다리 걷어차는 민주당의 '실거주 의무 폐지' 반대

▲ 디지털타임스 = 육아휴직자, 대기업·여성에서 중소기업·남성으로 확산돼야

거대야당 포퓰리즘과 새만금 지원에 휘둘린 내년 예산안

▲ 매일경제 = 육아휴직 20만시대라지만 中企·비정규직엔 '그림의 떡'

현대차 러 공장 14만원 헐값 매각, 기업 흔드는 지정학적 위험

예산안 지각처리, 여야 언제까지 밀실 나눠먹기 반복할건가

▲ 브릿지경제 = 사전 규제 플랫폼법, 혁신 '싹 자르기' 아니어야 한다

▲ 서울경제 = 지방교육재정 잉여 7조5000억…교부금 개혁 서두를 때다

여야 예산안 합의…선심예산 주고받기·늑장 처리 반복 말아야

지지율 더 떨어진 與, 위기 벗어나려면 기득권 버리고 쇄신해야

▲ 이데일리 = 출산율 하락 부추긴 사교육 부담… 공교육 질 높여야

부실기업 정리 칼빼든 세계… 한국, 예외일 수 없다

▲ 이투데이 = '핵심기술 도둑질=패가망신' 인식 심으려면

▲ 전자신문 = 사이버 보안 인재 양성 지속돼야

AI 반도체 장비, 기술 추격 급하다

▲ 파이낸셜뉴스 = 기업 60% "새해 노사불안" 노조법 개선 서둘러야

홍해발 물류위기에 선제적 대응플랜 가동해야

▲ 한국경제 = "소비·근로 의욕 증대" … 하후상박 서울시 안심소득 성과 주목된다

오늘 예산안 처리 합의 … 이 정도 야합하려고 그 난리 쳤나

국민 거짓말쟁이 만드는 산재·고용보험 과잉복지

▲ 경북신문 = "한동훈 나오면 땡큐" 민주당이 환영… 왜?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