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6개월간 기온·가뭄 전망은…하반기부터 정보 제공

  올해 하반기부터 향후 6개월간의 기온과 가뭄 전망이 공개된다.

 기상청은 11월부터 '기상가뭄 6개월 계절전망' 정보를 제공한다고 11일 밝혔다.

 또 12월부터는 '6개월 기온 전망'을 시범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가뭄 6개월 전망은 올해 11월을 시작으로 3개월마다 발표되며 발표된 달로부터 6개월 뒤 시점에서 기상가뭄이 발생했을지 행정구역별로 예측한 정보가 담긴다.

 6개월 기온 전망에는 발표된 달로부터 4~6개월 이후 월별 기온이 평년기온과 비교해 높을 확률과 낮을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 제시될 예정이다. 3개월 전망은 현재도 서비스되고 있다.

기온 6개월 전망 예시.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