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 먹다 끊으면 금단증상 온다"

 우울증 치료제인 항우울제를 복용하다 끊으면 신체·정신적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바스(Bath) 대학의 캐서린 버튼 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지난 1년 사이에 프로작 등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의 신세대 항우울제를 복용하다 끊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들은 항우울제를 끊은 후 피로, 다한증 같은 신체적 금단증상만 아니라 정서-인지-사회 기능 장애 등 정신적 금단증상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투약 중단 후에는 성격이 급해지면서 사소한 일에도 분노를 터뜨리는 일이 잦았다고 이들은 말했다.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때는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었을 때보다 훨씬 더 깊은 감정에 휩싸이는 일이 많았다는 것이다.

 항우울제를 먹고 있을 때는 감정이 가라앉았는데 약을 끊은 후로는 감정이 더 격해졌다고 그들은 전했다.

 또 이따금 부정적인 생각이 몰려왔다고 했다. 약을 끊은 뒤로는 그동안 꾹꾹 눌러두었던 옛날 기억들이 몰려왔다는 것이다.

 전에는 많은 생각들을 눌러두었는데 항우울제를 끊은 뒤로는 마치 내 몸이 자극이나 생각 자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재조정하는 듯했다고 그들은 말했다.

 그러면서 "친구와 외출하는 것도 힘들 때가 있었다. 즐거운 기분이 아니라 끌려 나가는 것 같았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러한 금단증상은 항우울제를 끊은 후 며칠 또는 몇 주 동안이 가장 심했으며 몇 달 후에도 계속됐다.

 그러나 항우울제를 갑자기 단번에 끊지 않고 서서히 끊으면 이러한 금단증상이 덜 하고 감당할만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우울증이 있으면 가족이 사회생활에 도움을 주기 마련인데 이 같은 사실을 알고 미리 대비하면 항우울제 중단으로 인한 금단증상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헬스 익스펙테이션'(Health Expectation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