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의학상에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소장·김원영 울산대 교수

젊은의학자 부문에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오탁규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제17회 아산의학상 수상자로 기초의학 부문에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연구소장, 임상의학 부문에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장인 김원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교수를 각각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젊은의학자 부문에는 정인경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오탁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각각 선정됐다.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인 이 소장은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Astrocyte)'에 대한 연구로 퇴행성 뇌질환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꾼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동안 별세포는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역할로만 알려졌지만, 이 소장의 연구를 통해 뇌의 중요한 신호 전달물질인 흥분성 글루타메이트와 억제성 가바(GABA)가 별세포에서 생성되고 분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임상의학 부문 수상자인 김 교수는 20여년간 응급의학과 전문의로서 심정지, 패혈증, 허혈성 뇌손상, 급성호흡부전 등 중증 응급환자 치료와 연구에 전념해 온 성과가 높이 평가됐다.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의 심폐소생술 생존율을 국내 평균 5%의 6배인 30%로 끌어올린 공로도 인정받았다.

 젊은의학자 부문을 수상한 정 교수는 유전자 분석에서 3차원 해독을 도입해 파킨슨병, 암 등의 새로운 원인을 규명한 성과를, 오 교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마약성 진통제 사용 실태를 파악하는 등 정책적 제언이 가능한 연구를 해온 점을 인정받았다.

 아산의학상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아산사회복지재단이 2008년 제정한 상이다.

 상금은 기초의학·임상의학 부문 수상자가 각각 3억원이며,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자는 각각 5천만원이다.

 시상식은 오는 3월 21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