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여야 6 대 1'로 더 기운 방심위, '방송 검열단' 완장 찰 건가

김건희 명품백 입 닫는 게 한동훈의 '선민후사'인가

몰래 받은 명품 선물도 대통령기록물이라는 용산의 궤변

▲ 국민일보 = 강성희 논란… 과잉경호 이전에 국회의원 품격의 문제

잇단 민생 대책, 정부는 말보다 입법 계획 세우길

▲ 서울신문 = 선거구 쇼핑에 옥중 창당까지, 국민이 우습나

임혁백 제안 '권역별 비례제' 검토할 만하다

'몰카 공작' 논란 속히 매듭짓고 민생 매진하라

▲ 세계일보 = "중처법 유예 안 되면 범법자 양산" 中企 호소 외면할 건가

민주당 친명의 원칙 없는 비명·친문 몰아내기, 역풍 맞을 것

전공의 86% "의대 증원 시 단체행동", 국민은 안중에 없나

▲ 아시아투데이 = 의사들, 집단행동하면 설 자리 잃는 것 명심하길

尹-韓, 화합의 세리머니 하루빨리 보여줘야

▲ 조선일보 = 연일 최고치 미·일 증시, 지배 구조 개선해야 韓 증시도 평가받을 것

민주당 '5대 혐오 범죄' 공천 기준, 당대표에게 적용한다면

윤·한 만남, 더 이상 국민 불안케 하는 일 없어야

▲ 중앙일보 = 민주당 친명계의 노골적 '찐명 마케팅' 꼴불견

혁신과 주주친화 정책이 밀어올린 미·일 증시

▲ 한겨레 = '이선균 내사' 유출 수사 나선 경찰, '눈 가리고 아웅' 안돼

'6 대 1 방심위' 만든 윤 대통령, 언론검열 친위대 원하나

'김건희' 위한 한동훈 사퇴 요구, 대충 봉합할 일 아니다

▲ 한국일보 = 여권 위원만 임명한 방심위, 최소한의 균형도 저버리나

윤 대통령-한동훈 갈등, 봉합만이 능사 아니다

美日 증시 사상 최고, 혁신 없는 한국은 하락세

▲ 글로벌이코노믹 = 시대착오형 규제, 일몰제 필요하다

10년째 금 거래 중단한 한국은행

▲ 대한경제 = 총선 앞두고 연일 감세 감세… '세수 펑크' 대책은 있나

'연장근로' 주 단위 변경 계기로 노동시간 유연화 속도 내야

▲ 디지털타임스 = 경제계 중대재해법 유예 마지막 호소… 민생 외치는 野 답하라

'김여사 리스크' 해소 없인 尹·韓 갈등 근본적 해결 안 된다

▲ 매일경제 = 서울 주택보급률 13년만에 최저, 인구 변화 반영한 공급대책을

영세사업장에 중대재해법 강행, 결국 피해자는 근로자다

갈등 봉합한 尹·韓 … 국민만 바라보겠다는 초심 회복하길

▲ 브릿지경제 = 실효도 후생도 없는 '단통법', 폐지 방향은 옳다

▲ 서울경제 = '옥중 창당' '메뚜기 출마' … 국민 우습게 보는 '요지경 정치'

"의대 증원하면 단체행동" 전공의, 기득권 지키려고 협박할 건가

얼어붙은 기업 체감 경기 … 더 파격적 지원으로 투자 활력 살려라

▲ 이데일리 = 상속세의 유산취득세 전환, 머뭇거릴 이유 없다

단통법·대형 마트 의무휴업 폐지… 민생 대못 이뿐일까

▲ 이투데이 = 유령노조 걷어내니 '21만 뚝' …노동계 대표성 있나

▲ 전자신문 = '웹툰 플랫폼' 디지털 한류 거점으로

▲ 파이낸셜뉴스 = 식량안보 OECD 최하위, 전략작물 키워야

바로잡은 양대 노총 과대대표, 노동개혁 일환이다

▲ 한국경제 = 가입률 11% 불과한 양대노총 … 정책참여 독식구조 타파해야

주목되는 전략기술 세제 지원 … 속도 늦추면 도태한다

악화일로 건설산업 위기, 경기회복 걸림돌 될라

▲ 경북신문 = 시스템 공천 VS 단수 전략공천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