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도 전염?…"시신 뇌하수체에서 성장호르몬 투여받은 5명 발병"

英 연구팀 "1985년 이전 치료 1천800여 명 중 발견…원인물질 전염 가능성"

 어릴 때 영국에서 시신의 뇌하수체에서 추출한 인간 성장호르몬(c-hGH)을 투여받은 사람 중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사례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런 사례는 매우 드물지만, 치료 과정에서 전염된 의인성(醫因性)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다며 유사 사례에 대한 예방 조치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존 콜링 교수팀은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c-hGH 치료법으로 1959~1985년 치료받은 사람 중 5명에게서 알츠하이머병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증상 또는 징후를 확인했다며 최근 이같이 밝혔다.

 영국에서는 1959~1985년 1천848명이 시신의 뇌하수체에서 추출한 인간 성장호르몬을 투여받았다.

 그러나 일부가 변형 단백질 프라이온(prion)에 오염된 c-hGH를 투여받은 후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코프병(vCJD)으로 사망하면서 관련 제품은 모두 회수됐고 치료법은 중단됐다.

 이 치료법으로 영국에서만 80건의 CJD 발병 사례가 발생하는 등 세계적으로 200명 이상이 CJD에 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어렸을 때 c-hGH를 투여받았지만, CJD에 걸리지 않은 8명이 알츠하이머병 관련 증상 및 징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중 5명은 알츠하이머병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조기 치매(38~55세 발병) 증상을 보였고, 두 개 이상의 인지 영역에서 일상생활 수행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진행성 장애를 겪었다.

 또 나머지 3명 중 한 명은 경도 인지장애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증상이 42세에 나타났고, 다른 한 명은 주관적 인지 장애 증상이 있었으며 한 명은 무증상이었다.

 연구팀은 조기 치매 발병 증상을 보인 5명 중 2명에게서는 생체 표지 분석에서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고 다른 한 명에게서는 알츠하이머병 발병 가능성을 시사하는 징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연구 기간에 사망한 환자 2명 중 한 명의 뇌 조직 표본 등 부검에서는 알츠하이머병 병리 소견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5명의 표본을 채취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모두 알츠하이머병 조기 발병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병이 CJD와 마찬가지로 드물지만 전염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c-hGH가 더는 사용되지 않고 이 연구에서 드러난 환자들도 수년간 반복적으로 노출된 후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알츠하이머병의 의인성 전염은 드문 것으로 보이며 다른 일상적 치료나 일상생활에서 알츠하이머병이 전염될 수 있다는 증거도 없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어 이 결과는 다른 유형의 알츠하이머병 유발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치료 전략에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서 Aβ의 의인성 전염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른 의학적 치료 등을 통해 일어날 수 있는 우발적 전염에 대한 예방 조치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 출처 : Nature Medicine, John Collinge et al., 'Iatrogenic Alzheimer's disease in recipients of cadaveric pituitary-derived growth hormon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1-023-02729-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고령화 대비 건보료율 상한 높이는 안 검토…5년간은 괜찮지만
정부가 고령화에 대비해 건강보험료율의 법적 상한인 8%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 향후 5년간은 건강보험 재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고령화 등으로 의료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는 것이다. 의료비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비급여 의료 행위에 '메스'를 들이대 급여와 비급여가 뒤섞인 혼합진료를 금지하고, 효과성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게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 적정 수준 건보료율 논의…국고 지원 법률도 개정 정부는 급격한 고령화로 의료비가 급증함에 따라 보험 재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건강보험료율 상향 조정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건강보험료는 법에 따라 월급 또는 소득의 8%까지 부과할 수 있게끔 묶여있는데, 지난해 건강보험료율(7.09%)이 7%를 돌파하면서 상한에 가까워졌다. 올해 건강보험료율은 동결됐다. 배경에는 저출생과 총인구 감소, 저성장 기조 때문에 보험료 수입이 정체돼 재정의 지속성에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 있다.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