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트 시술 '돼지 아빠'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퇴임

심근경색 매년 4천건 시술…37년간 1만2천여명 진료
거액 연봉 거부, 연구·진료 가능한 보훈병원에 새둥지

  "퇴임하면 연봉의 10배를 준다며 오라는 병원이 많았지만,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보훈병원을 선택했어요."

 심근경색증과 관상동맥 분야 권위자인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는 퇴임을 이틀 앞둔 27일 진료와 연구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교수는 막힌 혈관에 스텐트를 넣어 확장하고, 약물 치료를 통해 다시 혈관이 좁아지지 않게 하는 심근경색증 시술(관상동맥중재술)로 정평이 나 있다.

정 교수는 시술에 필요한 스텐트 개발을 위해 국내 최초로 동물 실험을 시작한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는 1996년 미국 연수에서 돌아와 인간의 심장과 가장 비슷한 돼지를 이용해 지금까지 3천718마리로 실험을 해 '돼지 아빠'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정 교수는 "스텐트를 국산화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개발 이후에는 혈전이 안 생기고 심근경색이 재발하지 않는 스텐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미국 특허까지 등록했다"고 설명했다.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그가 받은 스텐트 관련 특허는 모두 84개로, 이 가운데 실용화한 제품은 '타이거 스텐트'와 '타이거 레볼루션 스텐트' 두 가지다.

 타이거 스텐트는 스텐트 국산화 노력의 산물로 지금까지 126례를 시술했으며, 타이거 레볼루션 스텐트는 혈전이 안 생기는 등 부작용을 줄인 신개념 스텐트로 20명에 대한 임상 사용 실험이 끝난 상태다.

 추후 절차를 밟아 식약처 사용 승인을 얻어내면 환자 치료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노력과 실력은 연구 성과로 고스란히 나타났다.

 순환기내과 관련해 1천920편의 논문과 96권의 저서를 발표해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업적을 남겼다.

 특히 급성심근경색증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논문(425편)을 발표한 연구자로 이름을 올렸다.

 2006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 됐는데 지역 의과대학 교수가 과학기술한림원 회원이 된 건 그가 처음이다.

 정 교수는 오는 29일 37년간 재직하던 전남대병원을 퇴임하지만, 곧바로 광주보훈병원 순환기내과에서 진료를 시작한다.

 그는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와 스텐트 개발 등을 평생 지속하고 싶다"며 "꾸준한 연구와 진료 활동, 특허 개발로 우리나라가 첫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정진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KAIST, 사용할수록 더 강해지는 인체 뼈 닮은 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조지아 공과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체 뼈의 원리를 모사해 사용할수록 오히려 더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아파트 건물, 차량 등을 구성하는 재료는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은 우리 몸속 뼈가 하중을 받으면 세포 작용으로 미네랄을 합성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원리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힘을 많이 가할수록 전하를 더 많이 생성하는 다공성 압전 소재(힘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재)로 바탕재를 만든 뒤 미네랄 성분을 갖는 전해질을 넣어 복합재료를 합성했다. 재료에 주기적인 힘을 가한 후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응력(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 안에서 발생하는 힘)의 빈도와 크기에 비례해 재료의 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CT 촬영을 통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다공성 재료 안에 미네랄이 형성되고, 힘이 가해지면 미네랄이 파괴되면서 에너지를 흩어지게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시 응력을 가하면 미네랄이 형성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기존 재료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