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뛰어난 후각으로 트라우마 스트레스 냄새 맡아…PTSD 안내견에 활용"

캐나다 연구팀 "훈련 통해 스트레스 날숨 감지…위험 경고 가능"

 개를 훈련하면 날숨 냄새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환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환자의 위험 상황을 조기에 경고할 수 있게 PTSD 안내견을 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 댈하우지대학 로라 키로자 박사팀은 1일 '알레르기 프런티어스'(Frontiers in Allergy)에서 개를 훈련한 결과 PTSD 환자가 스트레스 상황과 평온한 상황에서 내쉰 숨을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키로자 박사는 이 연구는 개념 증명 연구로서 앞으로 더 큰 규모의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개가 호흡의 스트레스 표지자를 감지할 수 있다면 발작 등 위험 상황을 초기에 발견해 경고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의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암이나 말라리아 등 각종 질병을 진단하거나 임박한 발작이나 갑작스러운 저혈당 같은 긴급 의료상황의 조기 신호를 감지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돼 왔다.

 연구팀은 PTSD 안내견은 이미 고통스러운 상황의 사람들을 돕고 있지만 행동이나 신체적 신호에 반응하게 훈련돼 있다며 날숨 속의 PTSD 증상 관련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감지할 수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PTSD 진단을 받은 14명을 포함해 트라우마를 경험한 26명의 날숨 냄새를 수집했다. 이들은 마스크를 쓰고 자신의 트라우마 경험을 상기시키는 세션에 참가했다.

 이들이 평온한 상태에서 쓰고 있던 마스크와 트라우마 경험을 상기시키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쓴 마스크는 각각 안내견 훈련과 실험을 위해 보관됐다.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받은 스트레스 수준과 감정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했다.

 연구팀은 이어 참가자들의 마스크를 이용해 반려견 25마리에게 평온한 상태의 날숨과 스트레스 상황의 날숨을 구분하는 훈련을 했고, 최종적으로 아이비(Ivy)와 캘리(Callie) 두 마리가 두 날숨을 구분할 정도의 숙련도에 도달했다.

 아이비와 캘리는 마스크 조각에서 나는 냄새만으로 참가자가 평온한 상태인지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인지 90% 정확도로 구분해냈다.

 또 한 번에 마스크 조각을 하나씩만 제시하는 실험에서는 아이비는 74% 정확도, 캘리는 81% 정확도로 스트레스 상황의 날숨을 찾아냈다.

 이를 설문을 통해 파악한 참가자들의 스트레스 상황 감정과 비교한 결과 아이비는 불안과 연관성이 있는 냄새를, 캘리는 수치심과 연관성이 있는 냄새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키로자 박사는 "이 연구는 표본 40여개를 사용한 개념 증명 연구로 향후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며 "검증에서는 더 많은 참가자를 대상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수집한 표본으로 개들이 스트레스 VOC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 출처 : Frontiers in Allergy, Laura Kiiroja et al., 'Can scent-detection dogs detect the stress associated with trauma cue exposure in people with trauma histories? A proof-of-concept study',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algy.2024.1352840/full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가라는 엄마, 말리는 선배"…의정갈등에 학교 밖 맴도는 의대생
"25학번 의대 신입생 얘기를 들어보니 부모님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학교에 가라 하고 선배들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학교에 오지 말라 해서 아침에 PC방으로 출근한답니다."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과 관계자가 최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주최한 의사 수 추계 논문 공모 발표회에서 언급한 사례다. 이 관계자는 "학교로 돌아가고 싶어도 주변의 여러 사정으로 결정할 수 없는 의대생과 학부모님 전화가 교육부로 많이 온다"며 현장에 있던 의대 교수 등을 향해 "이제 학교로 돌아와 학업을 이어가길 희망하는 학생이 많다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했다. 장기화한 의정 갈등 속에 의대생들이 학교 밖을 맴도는 신세가 됐다. 정부의 의대 증원 등 정책에 반대하는 강경한 목소리가 여전히 큰 건 사실이지만, 이제는 돌아가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의대생들도 적지 않다. 의료계 안에서는 의대생이 의정 갈등의 '볼모'가 돼 버렸다며 이제 선배들이 나서서 후배들이 돌아갈 수 있도록 길을 터주라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 "돌아가고 싶다는 학생 존재하지만…복귀로 이어질진 미지수"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주요 의대들은 교수와 학생의 일대일 면담 등 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료정보 실시간 공유' 개정안 제정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인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을)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15일 밝혔다. 개정안 핵심은 중앙과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에 의료자원 정보시스템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 감염병 관리 통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해 운영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렇게 되면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병상과 의료자원 정보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의료기관 간 의료자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팬데믹 때 병원 간 가용병상 파악이 어려워 환자 전원 등 감염병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병상 정보 등을 메일로 주고받으면서 신속성과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지적됐다. 현재까지도 병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은 구축돼 있지 않아 향후 감염병이 발생해 확산할 경우 비슷한 혼선이나 어려움이 되풀이될 수도 있다. 김 의원은 "감염병 대응에 인력과 병상 등 의료자원을 적재적소에 신속히 배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면서 "이번 개정안이 제정돼 보다 감염병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