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냉장고+AI 요리 레시피…"누구나 쉽게 요리를"

밀라노 '유로쿠치나 2024' 삼성전자 부스 가보니

 "누구나 정확하고 쉽게 요리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 같네요."(안드레아 버튼 셰프)

 이탈리아의 유명 셰프인 안드레아 버튼 셰프가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에 감자를 넣자 냉장고에 탑재된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이 '띵' 소리를 내며 팝업창에 감자를 띄웠다.

  패밀리허브 냉장고의 추천 레시피 중 '레몬소스 대구·감자 요리'를 선택한 버튼 셰프는 애니플레이스 인덕션으로 레시피를 보낸 뒤 이를 보면서 감자 요리를 시작했다.

 1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막한 '유로쿠치나 2024' 삼성전자 부스에서 쿠킹쇼를 진행한 버튼 셰프는 "애니플레이스 인덕션이 개인적으로도 기억에 남았다"며 "7인치 디스플레이, AI 홈에서 바로 레시피를 보면서 요리할 수 있어 무척 편리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밀라노 시내에서 미슐랭 1스타 레스토랑을 운영 중인 버튼 셰프는 "이미 삼성의 여러 빌트인 가전을 레스토랑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데 가전의 디자인과 품질에 만족한다"며 "많은 사람이 삼성의 AI 가전과 함께 여러 음식을 직접 만들며 요리의 즐거움을 경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오는 21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주방 가전·가구 전시회 '유로쿠치나 2024'에서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와 애니플레이스 인덕션 등 AI 가전을 대거 선보였다.

 독일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보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964㎡ 규모의 부스를 마련한 삼성전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제품을 통해 새로운 주방의 모습을 제시했다.

 특히 유럽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실제 집안처럼 체험존을 꾸리고, AI 홈과 빅스비를 통해 연결 기기를 이용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안했다.

 스마트싱스에서 주거 공간의 가상 도면을 보면서 연결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3D '맵뷰'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애니플레이스 인덕션과 비스포크 AI 콤보에 탑재된 AI홈과 스마트 TV 화면에도 띄워서 볼 수 있다.

 외출시 조명 등의 연결 기기를 알아서 꺼주고, 인덕션이 작동 중인 경우 스마트싱스 알림을 주는 등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아도 집안의 제품이 상황에 맞춰 스스로 동작하는 스마트홈도 구현했다.

 휴대전화가 리모컨 역할을 하는 '퀵 컨트롤' 기능도 지원한다.

 오는 7월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생성형 AI가 빅스비에 도입되면 사람과 대화하듯 자연스러운 음성 제어도 가능해질 예정이다.

 정지은 삼성전자 생활가전(DA)사업부 상무는 "스마트싱스 기반이 있어야 AI를 잘 할 수 있다"며 "삼성전자는 3억명이 넘는 유저가 있다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기업 간 거래(B2B) 분야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싱스 솔루션도 함께 선보였다.

 아파트·공동주택·타운하우스 등 주택 관리자가 스마트싱스 앱으로 단지 내 삼성 제품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통합 점검·제어하는 식이다.

 전력공급 파트너사와 연계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집안 각종 기기와 전기자동차, 태양광 시설,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합해 집 전체 에너지 사용 현황을 한눈에 살펴보면서 사용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유럽 빌트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프리미엄 빌트인 신제품도 전시했다.

 이달 유럽에서 출시한 '빌트인 와이드 상냉장·하냉동(BMF) 냉장고'는 삼성전자의 빌트인 냉장고 라인업 중 첫 와이드 모델로, 기존 모델보다 15㎝ 더 넓혔다. 내부 용량은 기존 모델 대비 91L 커진 389L다.

 올해 3분기 출시를 앞둔 빌트인 식기세척기 신제품은 '키친핏 슬라이딩 도어'를 탑재해 하단의 걸레받이를 자르지 않고 주방 가구에 꼭 맞게 설치하면서도 도어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최근 가구사의 트렌드가 럭셔리해지면서 패널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는데 기존 모델이 9㎏까지 홀딩이 가능하다면 슬라이딩 도어는 12㎏까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