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유고래, 인간 언어와 유사한 복잡한 신호로 의사소통"

美 연구팀 "향유고래 의사소통 시스템, 복잡하고 정보전달력 뛰어나"

 개체들 사이에 의사소통 방식이 아주 단순한 것으로 알려진 향유고래(Physeter macrocephalus)가 다양한 클릭 음(딸깍하는 소리)과 리듬을 결합하고 변조해 인간의 언어와 유사한 복잡한 신호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및 국제 향유고래 언어 연구단체인 프로젝트 CETI(Cetacean Translation Initiative)의 제이컵 앤드리아 교수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카리브해에 서식하는 향유고래 60여 마리의 소리를 분석, 대화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클릭 음의 조합과 구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유고래가 다양한 클릭 소리와 리듬을 만들고 이를 조합, 변조할 수 있다며 이를 활용한 의사소통 체계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고 정보전달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사회적 동물에게 의사소통은 집단 결정을 내리고 먹이 사냥이나 새끼 양육 같은 공동 작업을 조율하는 데 중요하다. 이빨고래류 중 몸집이 가장 큰 향유고래는 일련의 클릭 음으로 서로 의사소통하는 사교적인 포유류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향유고래 자료가 가장 많은 도미니카 향유고래 프로젝트(Dominica Sperm Whale Project) 데이터 가운데 카리브해 동부에 서식하는 향유고래 60여 마리가 다른 개체와 사이에서 내는 소리를 녹음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향유고래가 다양한 클릭 소리와 리듬을 만들고 이를 조합, 변조할 수 있으며, 클릭 소리 순서의 구조와 조합이 개체 간 대화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반복적인 클릭 구조와 조합을 의사소통에 쓰이는 '향유고래 음성 알파벳'으로 정의하고, 이들 클릭 조합의 기능과 의미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향유고래가 이를 활용해 수많은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유고래의 발성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표현력이 풍부하고 구조화돼 있으며, 훨씬 더 많은 구별 가능한 코다로 이루어진 레퍼토리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향유고래 발성이 복잡한 조합적 의사소통 시스템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조합 발성(combinatorial vocalization) 시스템이 인간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다른 생리적, 상태적, 사회적 압력 속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Jacob Andrea et al., 'Contextual and combinatorial structure in sperm whale vocalisation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47221-8, 참고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exylddjJBZk)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목숨 위협하는 독감 합병증…"독감·폐렴구균 백신 접종해야"
대만의 유명 배우이자 가수 구준엽의 부인인 쉬시위안(徐熙媛·48)이 인플루엔자(독감)에 걸린 후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 알려지면서 독감과 폐렴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위험군이나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겐 독감이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독감과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폐렴은 관련 바이러스·세균·곰팡이·기생충 등에 감염돼 호흡기(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기침과 노란 가래, 발열, 늑막염으로 인한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이며 가벼운 폐렴은 감기와 유사하다. 심하지 않으면 항생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지만, 드물게 폐렴이 심한 경우 호흡부전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 위험군은 소아나 노인,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 등이다. 폐렴의 주 원인은 바이러스와 세균이다. 대부분 기도를 통해 병원체가 침입하여 염증이 시작된다. 특히 쉬시위안과 같이 독감에 걸리면 이 같은 병원체 침입에 취약해져 폐렴에 걸리기 쉽다. 정재호 국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독감 바이러스로 인해 몸이 공격을 받은 상태에서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한 2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에 플라스틱 숟가락 한개씩…" 미세플라스틱 탓 치매 가능성 걱정까지
미세플라스틱이 질병을 부를 가능성까지 의심할 정도로 인체를 급속히 오염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멕시코대 연구진은 시신을 수십구 해부해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오염도 추이를 조사한 논문을 학술지 네이처메디신에 3일(현지시간)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2024년 초 시신들의 신장과 간에서는 2016년 시신들보다 7∼3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이는 에베레스트에서부터 마리아나 해구까지 광범위하게 퍼진 미세플라스틱이 사람들 장기에도 점점 많이 쌓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연구진은 예민한 기관인 두뇌에서도 2016년보다 2024년에 50%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관찰됐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매슈 캠펜 교수는 CNN에 "평균 45∼50세 정도인 보통 사람들의 뇌 조직에서 우리가 관측한 농도는 1g당 4천800μg(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이며 무게로 따질 때 0.48%"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 뇌가 99.5%는 뇌이고 나머지는 플라스틱인 셈"이라며 머리에 플라스틱 숟가락이 한 개씩 온전히 들어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사망 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파편 같은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