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으로 저수지 수위 낮아지면 대기 중으로 탄소 배출"

포항공대 연구팀 ,빅데이터 분석 결과 도출…국제 학술지 '물 연구'에 실려

 가뭄으로 수온이 높아지고 저수지 수위가 낮아지면 총유기탄소(TOC) 농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총유기탄소는 물속에 유기물 상태로 존재하는 탄소의 총량을 가리킨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 박사과정 이광훈씨 연구팀이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과 수질 데이터를 분석해 극심한 가뭄이 수자원관리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5일 밝혔다.

 농업용 저수지 주변의 논·밭 면적이 넓은 지역에서는 총유기탄소 농도가 일부분 높아진다는 사실도 조사했다.

 이번 연구는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면 탄소를 저장하던 저수지가 대기 중으로 탄소를 방출하는 공급원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수자원분야 국제 학술지인 '물 연구(워터 리서치)'에 실렸다.

 감종훈 교수는 "수자원 빅데이터와 고급 통계기술을 이용해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순환과 탄소순환의 정량적 변화를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며 "수량 중심에서 수량과 수질 모두 고려한 환경 및 수자원 정책 변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